황석우 시의 자연과 생명의 가치 - 시집 『자연송』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Nature and Life in Poems of Hwang-Seokwoo’s middle period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 인식과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 ―1920년대 김억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Cognition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al poetics ― on Kim Eok’s poetry and his poetics in 1920s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뉴욕의 재즈/문화 다시 읽기:『위대한 개츠비』와 『재즈』의 비교를 중심으로
Re-reading of Culture and Jazz in New York City in the 1920s Through Comparison of The Great Gatsby and Jazz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조선어 인식과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 ―1920년대 김억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Cognition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al poetics ― on Kim Eok’s poetry and his poetics in 1920s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잡지 『삼광』 소재 시와 시론 연구
Research on the poetry and the artistic essay in the magazine, Sam―Kwang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황석우 시의 자연과 생명의 가치 - 시집 『자연송』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Nature and Life in Poems of Hwang-Seokwoo’s middle period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작문교본, 『실지응용작문대방(實地應用作文大方)』 의 국한문체 글쓰기와 한문전통
Korean-Chinese Writing and the Editorial Process of a Rhetoric Manual, Siljiungyongjakmundaebang in 1920s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토니 모리슨의 『재즈』: 할렘 르네상스의 시대적 양상
Toni Morrison's Jazz: The Aspects of the Harlem Renaissance Era
영미문화 |
11 |
3 |
2011 |
영어와문학
1920년대 작문교본, 『실지응용작문대방(實地應用作文大方)』 의 국한문체 글쓰기와 한문전통
Korean-Chinese Writing and the Editorial Process of a Rhetoric Manual, Siljiungyongjakmundaebang in 1920s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코믹스(Comics)의 기획과 대중화 -신문연재만화 <멍텅구리>를 중심으로
Make a plan to Comics in Chosun Ilbo- Focusing on a Comics in 1920's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리프 전쟁과 리프 공화국-1920년대 북아프리카 민족주의와 연관하여-
서양사론 |
107 |
2010 |
역사학
리프 전쟁과 리프 공화국-1920년대 북아프리카 민족주의와 연관하여-
서양사론 |
|
107 |
2010 |
역사학
1920년대 기녀 시조문학의 한 양상 연구 - 기생 잡지 <장한(長恨, 1927년)>에 수록된 시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Ginyeo Si-Jo literature in the 1920's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리프 전쟁과 리프 공화국-1920년대 북아프리카 민족주의와 연관하여-
서양사론 |
107 |
2010 |
역사학
리프 전쟁과 리프 공화국-1920년대 북아프리카 민족주의와 연관하여-
서양사론 |
|
107 |
2010 |
역사학
잡지 『삼광』 소재 시와 시론 연구
Research on the poetry and the artistic essay in the magazine, Sam―Kwang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기녀 시조문학의 한 양상 연구 - 기생 잡지 <장한(長恨, 1927년)>에 수록된 시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Ginyeo Si-Jo literature in the 1920's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소비주의, 광고, 그리고 코카콜라
Consumerism, Advertising, and Coca-Cola in the 1920s
역사와 문화 |
22 |
2011 |
문화사(역사학)
한국 근대 민요론 연구Ⅰ-우이동인의 민요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Modern Folk Song Theory Ⅰ -Centering on Uidongin(牛耳洞人)’s Theory of Folk Song-
人文科學硏究 |
30 |
2012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소비주의, 광고, 그리고 코카콜라
Consumerism, Advertising, and Coca-Cola in the 1920s
역사와 문화 |
22 |
2011 |
문화사(역사학)
1920년대 아동문학에서의 ‘눈물’의 의미와 표출양상
A Study of Meaning and Expression Patterns of ‘Tears’ in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1920s
동화와 번역 |
23 |
2012 |
아동문학
현대광고에서의 소프트셀 소구 분화 및 전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Soft sell Appeal in Modern Advertising
광고연구 |
91 |
2011 |
광고/홍보학
현대광고에서의 소프트셀 소구 분화 및 전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Soft sell Appeal in Modern Advertising
광고연구 |
91 |
2011 |
광고/홍보학
1920년대 문학과 영화의 영향관계에 관한 고찰 -영화소설의 등장과 그 배경-
1920年代における文学と映画の影響関係について ー映画小説の登場とその背景ー Study on Impact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Film in 1920s ―Emergence of Film-Novel and Its Background―
日本學硏究 |
33 |
2011 |
일본어와문학
1920년대 문학과 영화의 영향관계에 관한 고찰 -영화소설의 등장과 그 배경-
1920年代における文学と映画の影響関係について ー映画小説の登場とその背景ー Study on Impact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Film in 1920s ―Emergence of Film-Novel and Its Background―
日本學硏究 |
33 |
2011 |
일본어와문학
1920년대 과학소설의 국내 수용양상 연구 -<80만년 후의 사회>와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accepting science fiction in the 1920’ -focusing on The society after eight hundreds of thousands and Artificial laborer-
현대문학의 연구 |
44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과학소설의 국내 수용양상 연구 -<80만년 후의 사회>와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accepting science fiction in the 1920’ -focusing on The society after eight hundreds of thousands and Artificial laborer-
현대문학의 연구 |
44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어의 정착 연구 - 1920~1930년대 대중 잡지에 소개된 신어를 대상으로 -
A Study on Stabilization of Korean New Words which is used from 1920s to 1930s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운과 1920년대 현대시조의 형성
Jo Un and Formation of Modern Sijo in 1920's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사랑’을 통해 본 萬海의 近代認識
A study on Manhae's Modern recogni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Love'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사랑’을 통해 본 萬海의 近代認識
A study on Manhae's Modern recogni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Love'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조운과 1920년대 현대시조의 형성
Jo Un and Formation of Modern Sijo in 1920's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신어의 정착 연구 - 1920~1930년대 대중 잡지에 소개된 신어를 대상으로 -
A Study on Stabilization of Korean New Words which is used from 1920s to 1930s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랑’을 통해 본 萬海의 近代認識
A study on Manhae's Modern recogni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Love'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사랑’을 통해 본 萬海의 近代認識
A study on Manhae's Modern recogni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Love'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식민지 동화정책과 『매일신보』 문학연구 (2) -후반기 연재소설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Colony Assimilationism and 『Maeilshinbo』 Literature in 1920’s (2)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Serial Novel in Second Half-year-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계의 세대교체 —한성도서주식회사와 장도빈의 출판 활동을 중심으로—
A Shift of Generations in 1920's Translations : Focused on Hansung-doseo and Jang Do-bin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Mao Dun's Literary Advocacy in the Early 1920s
중국학논총 |
27 |
2010 |
중국어와문학
Mao Dun's Literary Advocacy in the Early 1920s
중국학논총 |
|
27 |
2010 |
중국어와문학
염상섭 초기 소설의 변화 과정 고찰 ― 매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for Changes of Initial Novel of Yeom Sang-Seop ― Centered on Correlationship with Media ―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식민지 동화정책과 『매일신보』 문학연구 (2) -후반기 연재소설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Colony Assimilationism and 『Maeilshinbo』 Literature in 1920’s (2)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Serial Novel in Second Half-year-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식민지 동화정책과 <매일신보> 문학연구(1) -전반기 연재소설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Colony Assimilationism and [Maeilshinbo] Literature in 1920's (1) -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serial novel in the first half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김기진 비평에서 ‘감각’의 의미
‘Sensation’ and Kim, Gi-jin’s Criticisms in 1920s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중반 ‘거리(街)’의 문학적 표상화 과정 연구
A Study on Literary Representation Process of ‘Stree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20s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 ‘거리[街]’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 김억, 김소월, 박종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etic Representation of ‘Street’ in Early 1920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詩魂」의 반(反)시론적 성격 연구
A Sy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 So-weol's Poetic Soul(詩魂)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문예지의 선후감 및 월평 연구 ― ≪朝鮮文壇≫·≪開闢≫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nel’s Commentary and Monthly Review of Literary Magazine in 1920s ―Focusing on Joseon Mund'an and GaeByeok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에 나타난 조선어 인식
The cognition on Chosun language of translation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김기진 비평에서 ‘감각’의 의미
‘Sensation’ and Kim, Gi-jin’s Criticisms in 1920s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문예지의 선후감 및 월평 연구 ― ≪朝鮮文壇≫·≪開闢≫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nel’s Commentary and Monthly Review of Literary Magazine in 1920s ―Focusing on Joseon Mund'an and GaeByeok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詩魂」의 반(反)시론적 성격 연구
A Sy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 So-weol's Poetic Soul(詩魂)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가기록원 소장의 3.1운동판결문의 가치와 보존 실태
國家記錄院 所藏 3.1運動判決文の價値と保存實態
한국학논총 |
35 |
2011 |
역사이론
1920년대 초중반 ‘거리(街)’의 문학적 표상화 과정 연구
A Study on Literary Representation Process of ‘Stree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20s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 ‘거리[街]’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 김억, 김소월, 박종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etic Representation of ‘Street’ in Early 1920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 문학사 교육의 모형 연구 : 1920년대 홍사용과 이상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Model about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Centered on the poems of Hong, Sayong and Lee, Sanghwa ―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한국 근대시 문학사 교육의 모형 연구 : 1920년대 홍사용과 이상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Model about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Centered on the poems of Hong, Sayong and Lee, Sanghwa ―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1920년대 조선에서의 외국영화 담론 -미국영화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Discourse on Foreign Film in 1920s' Josoen -Focusing on Discourse on American Film-
영화연구 |
49 |
2011 |
영화
1920년대 번역에 나타난 조선어 인식
The cognition on Chosun language of translation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