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

연구분야 :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527

STNet ID : 1000657

한자 : 遼東
기타 : Liaodong
동의어(UF) : 요동지역(遼東地域)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요서 () [ 遼西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북경 조약 [ 北京條約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삼국 간섭 () [ 三國干涉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5-02 조약/협약 조약/협약

시모노세키 조약 [ 下關條約 ]

RT (관련어)

 

x01-01 대륙(반도)명 대륙(반도)명

랴오둥 반도 [ 遼東半島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요목 [ 遼木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요민 [ 遼民 ]

元・明交替期 한반도 북방경계인식의 변화와 성격 -明의 遼東衛所와 3衛(東寧・三萬・鐵嶺)를 중심으로-

A change of Korean peninsula northern boundary perception and its character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Yuan and Ming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백제 정벌(征伐)이 가진 의미에 대하여 -392년~394년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Invading Baekje by King Gwanggaeto of Goguryo -Focusing on between 392 A.D.~394 A.D. -

대한정치학회보 | 1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고려의 北元칭호 사용과 동아시아 인식 -고려의 양면 외교를 중심으로-

Koryo Dynasty's Use of Name North Yuan and Cognitions of East Asia -Focusing on Koryo Dynasty's Double-sided diplomacy-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고려의 北元칭호 사용과 동아시아 인식 -고려의 양면 외교를 중심으로-

Koryo Dynasty's Use of Name North Yuan and Cognitions of East Asia -Focusing on Koryo Dynasty's Double-sided diplomacy-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The Systems for Assistance for Accidents and Rescue of Drifters in Pre-modern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28 | 2010 | 역사학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The Systems for Assistance for Accidents and Rescue of Drifters in Pre-modern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 28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入關前 淸의 朝鮮에 대한 ‘三色人’ 刷還要求

A Request for repatriation of “Three kinds of people” about Chosun in early Qing period

명청사연구 | 37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광개토왕대의 정복활동과 고구려 세력권의 구성

Conquest by King Kwanggaet'o and the Formation of the Sovereign Domain of Koguryǒ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The Systems for Assistance for Accidents and Rescue of Drifters in Pre-modern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28 | 2010 | 역사학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The Systems for Assistance for Accidents and Rescue of Drifters in Pre-modern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 28 | 2010 | 역사학

魏毌丘儉紀功碑와 관련하여

魏毌丘儉紀功碑と関して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魏毌丘儉紀功碑와 관련하여

魏毌丘儉紀功碑と関して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중・근세 韓・中間 국경완충지대의 형성과 경계인식 -14세기~15세기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buffer zone around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Middle and modern ages -Focusing on the 14th~15th century-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燕行錄에 나타난 華表柱 담론과 漢詩에 형상화된 華表柱

Discourses about Hwapyoju reflected upon Yeonhaengrok and Hwapyoju in Chinese poem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燕行錄에 나타난 華表柱 담론과 漢詩에 형상화된 華表柱

Discourses about Hwapyoju reflected upon Yeonhaengrok and Hwapyoju in Chinese poem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10세기 동북아 국제정세와 契丹의 요동정책 - 東丹의 설립과 그 통치정책 -

10世紀東北亞國際情勢和契丹的遼東政策 - 東丹的設立與統治政策 -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10세기 동북아 국제정세와 契丹의 요동정책 - 東丹의 설립과 그 통치정책 -

10世紀東北亞國際情勢和契丹的遼東政策 - 東丹的設立與統治政策 -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魏毌丘儉紀功碑와 관련하여

魏毌丘儉紀功碑と関して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魏毌丘儉紀功碑와 관련하여

魏毌丘儉紀功碑と関して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연개소문의 출자에 관한 몇 가지 의문

Some Questions on the Lineage of Yeongaesomun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연개소문의 출자에 관한 몇 가지 의문

Some Questions on the Lineage of Yeongaesomun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조선의 위치와 중심지 문제에 대한 고찰

Historical Research on Gojoseon's Historical Geography

한국고대사연구 | 58 | 2010 | 한국고대사

고조선의 위치와 중심지 문제에 대한 고찰

Historical Research on Gojoseon's Historical Geography

한국고대사연구 | | 58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의 서남쪽 경계에 대한 재고찰

Rethinking the Southwest Border of Balhae

한국고대사연구 | 58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의 서남쪽 경계에 대한 재고찰

Rethinking the Southwest Border of Balhae

한국고대사연구 | | 58 | 2010 | 한국고대사

16~17세기 여진의 성장과 요동 변경지대 성격 연구 - 변경지대의 변화를 통해 본 만리장성 동단기점설 비판 -

The Growth of Jurchens and the Character of the Liaodong Border Area : A Criticism on the Eastern Point of the Great Wall through the Change of Border Areas

동북아역사논총 | 34 | 2011 | 역사학

靑銅器文明周邊集團의 墓制와 君長社會 -遼東과 吉林地域의 支石墓와 社會

Burial Practices and Chiefdom Societies of Bronze Age Peripheral Groups: Dolmen and Societies of the Liaodong and Jilin Areas

호서고고학 | 26 | 2012 | 기타고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