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토피아

연구분야 : A100100 인문학 > 문학 > 문학이론

클래스 : 관념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5416

한자 :
영어 : Dystopia

e04-02 관념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역 유토피아 [ 逆-- ]

UF (비우선어)

 

 

안티유토피아 [anti-utopia]

UF (비우선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반 유토피아 () [ 反--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1984년 () [ --年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멋진 신세계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유토피아 () [utopia]

한국 현대시 속의 북방, 슬라브, 시베리아 공간 및 역사인식 -백석의 낙원회복의 꿈과 고대사 공간인식을 중심으로-

Spatial Conceptions and Images of 'Bukbang-Northern land', Siberia and Eurasia in Modern Korean Poetry -focusing on the perception and image of the land "Bukbang" in Baek-Seok's poetry-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2 | 2011 | 러시아

유토피아의 소설적 해법: 자먀찐의 『우리들』과 쁠라또노프의 『체벤구르』

Constructing Utopia in Fiction: Zamiatin’s We and Platonov’s Chevengur

노어노문학 | 23 | 3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근대 산업주의의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근대인들의 미래에 대한 투사

Utopia and Distopia of modern industrialism: projection of future of the moderns

Oughtopia (오토피아) | 25 | 1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근대 산업주의의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근대인들의 미래에 대한 투사

Utopia and Distopia of modern industrialism: projection of future of the moderns

Oughtopia (오토피아) | 25 | 1 | 2010 | 기타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