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서

연구분야 : A150000 인문학 > 영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6220

STNet ID : 1002577

한자 : 崔載瑞
호(號) : 석경우(石耕牛)
음차어 : Choi Jae-Seo

y01-01 실존인물

시대

대한민국 시대 (大韓民國時代)

직업

영문학자

생몰년_t

1908-1964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식민지 말기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언론보국회 [ 朝鮮言論報國會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평론가 [ 評論家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일본어 소설 () [ 日本語小說 ]

RT (관련어)

 

 

이상론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국민 문학 [ 國民文學 ]

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 : 1940년을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인문평론』이라는 아카데미, 그 실천의 임계

The ‘Arbeitization’ of Novel, The (Unfinished) Project of Roman : Kim, Nam-Cheon around 1940’s, Criticism on Humanities as An Academy, and Its Limit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상의 감각과 국가적 삶의 경계 -정인택 소설의 내적 논리-

Jeong In-Taek's novels of the internal log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상의 감각과 국가적 삶의 경계 -정인택 소설의 내적 논리-

Jeong In-Taek's novels of the internal log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의 변화와 ‘지금-여기’의 인문학

The Change of Universities and the Humanities of 'Here and Now'

대동철학 | 57 | 2011 | 철학

완전한 존재를 향한 불가능한 꿈 - 최재서의 ‘국민문학’ 담론의 심리 구조 -

An impossible dream toward the existence of whole thing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완전한 존재를 향한 불가능한 꿈 - 최재서의 ‘국민문학’ 담론의 심리 구조 -

An impossible dream toward the existence of whole thing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문학파의 문학사적 의미망과 정지용

Meaning of Simunhakpa in the Literary History and Jeong, Ji-yong ―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ark, Yong-cheol and Kim, Young-rang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보편주의’와 ‘보편성’의 사이 : 스코틀랜드 계몽과 국민문학

「普遍主義」と「普遍性」のあいだ : スコットランド啓蒙と「国民文学」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1940년대 ‘국민문학’과 좌담회의 문화정치

Cultural Politics of Symposium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국민문학’과 좌담회의 문화정치

Cultural Politics of Symposium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파상 단편의 한국어 이종 번역 연구 - 김소월과 최재서의 번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wo Different Korean Translations from a Short Story by Maupassant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최재서의 문학과 정치: 낭만주의론과 지성의 의미 변화

Literature and Politics in Choi Jae-Seo: A Theory of Romanticism and Meaning-Change of Intelligence

어문론총 | 54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 개념어의 기원과 전통 인식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Tradi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최재서의 ‘질서의 문학’과 친일파시즘

‘Literature of the Order’ and Pro-Japanese Fascism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재서의 ‘질서의 문학’과 친일파시즘

‘Literature of the Order’ and Pro-Japanese Fascism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의 이데올로기적 기원 : 김기림과 최재서의 이상론

Origins of the Ideology of Yi Sang-ism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의 이데올로기적 기원 : 김기림과 최재서의 이상론

Origins of the Ideology of Yi Sang-is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최재서의 문화 기획 연구

A Study on Choi, Jae Seo's ideas of Culture in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최재서의 문화 기획 연구

A Study on Choi, Jae Seo's ideas of Culture in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말기 국민문학론의 국민 되기의 논리와 문학적 의미-최재서의 「받들어 모시는 문학」을 중심으로

The Logic and Literary of “Becoming a Nation” through Theories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reading “Matsurou Literature” by Choi Jae-seo

사이間SAI | 9 | 2010 | 기타국문학

총동원체제하의 최재서의 일본어소설

戦争と歴史: 総動員体制における崔載瑞の日本語小説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최재서의 ‘맥아더’ -맥아더 표상을 통해 본 한 친일엘리트의 해방전후

Choe Jae-seo's ‘MacArthur’ :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in Pro-Japanese Elites Seen through the MacArthur Symbol

동악어문학 | 59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체제 시기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Ch’oe Chae-sŏ’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New Order Period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신체제 시기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Ch’oe Chae-sŏ’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New Order Period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