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acity in Turkish Allomorph Selection: Evidence for Markedness-oriented Candidate Chains
언어과학 |
18 |
1 |
2011 |
언어학
Long-distance Assimilation in Optimality Theory
영어영문학연구 |
53 |
4 |
2011 |
영어와문학
{-ity}와 {-ness}의 생산성 소고
Some Notes on the Productivity of {-ity} and {-ness}
언어과학 |
19 |
3 |
2012 |
언어학
지역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 강원도 방언연구를 중심으로 -
The method of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 Focus on Gangwon dialect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지역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 강원도 방언연구를 중심으로 -
The method of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 Focus on Gangwon dialect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류큐어의 모음융합 -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
日本語文學 |
1 |
51 |
2011 |
일본어와문학
Representation on the Diachronic Change of English kn-cluster in Optimality Theory
영어영문학연구 |
53 |
4 |
2011 |
영어와문학
The Korean Case Marker Allomorphy: Violable Constraints vs. Inviolable Constraints
언어과학 |
18 |
1 |
2011 |
언어학
영어의 굴절 접미사 [-s] 형태 (morph)에 관한 음운 및 형태론적 고찰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Aspects of English Morph [-s]: Focusing on the OCP Effects.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영어의 전이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lides in English
영어영문학연구 |
53 |
4 |
2011 |
영어와문학
일본어 가행 합요음의 직음화 -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
Simplification of Labio-velarized Syllables in Japanese -An Optimality Theoretic Analysis-
일어일문학 |
53 |
2012 |
일본어와문학
Gradual Harmonic Improvement: A Case of Overapplication Opacity
언어과학 |
18 |
4 |
2011 |
언어학
Renormalization in softness assimilation
Перенормировка в ассимиляции по мягкости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모음체계의 변화와 방언접촉: 국어의 ‘·’ 소실 현상을중심으로
Vowel System Change and Dialect Contact: Focusingon the Loss of a Low Back Vowel in Korean
언어학 연구 |
16 |
2010 |
기타언어학
모음체계의 변화와 방언접촉: 국어의 ‘·’ 소실 현상을중심으로
Vowel System Change and Dialect Contact: Focusingon the Loss of a Low Back Vowel in Korean
언어학 연구 |
|
16 |
2010 |
기타언어학
Stress in Papiamentu Revisited: An OT Perspective
언어학 연구 |
23 |
2012 |
기타언어학
“Pittsburghese” 영어 /aw/ 단모음화의 사회적 의미와 음운체계
The Social Meaning and Phonological System of /aw/-monophthongization in the “Pittsburghese” English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Pittsburghese” 영어 /aw/ 단모음화의 사회적 의미와 음운체계
The Social Meaning and Phonological System of /aw/-monophthongization in the “Pittsburghese” English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최적성이론에 의한 일본어 모음융합의 분석
日本語敎育 |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미야코・야에야마방언에 있어 /w/의 폐쇄음화 -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
Stopping of /w/ in Miyako-Yaeyama Dialects -An Optimality-Theoretic Analysis-
일어일문학 |
55 |
2012 |
일본어와문학
영어의 애칭명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ypocoristic Names in English
영어영문학연구 |
53 |
2 |
2011 |
영어와문학
Harmonic Serialism에 의한 영어의 대모음전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Great Vowel Shift in English by means of Harmonic Serialism
영어영문학연구 |
54 |
3 |
2012 |
영어와문학
시마바라방언의 ラ행음과 ダ행음의 혼동 -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
日本語文學 |
1 |
53 |
2012 |
일본어와문학
일본어 漢語의 모음삽입―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
Vowel Epenthesis in SinoJapanese: An Optimality Theoretic Analysis
日本語敎育 |
|
54 |
2010 |
일본어와문학
최적성 이론에 의한 중국인 학습자의 연음 오류 분석
Error analysis on the liaison of Chinese learners based on optimality theory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Two Types of L1 Palatalization in L2: A Constraint-based Approach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Two Types of L1 Palatalization in L2: A Constraint-based Approach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최적성 이론에 의한 한국어-영어 음운문법 전이 오류 분석: 비음화와 유음화 현상을 중심으로
An Optimality-theoretic Analysis of Speech Error in Korean-English Transfer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최적성 이론에 의한 한국어-영어 음운문법 전이 오류 분석: 비음화와 유음화 현상을 중심으로
An Optimality-theoretic Analysis of Speech Error in Korean-English Transfer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A Study on Opacity in OT
영어영문학연구 |
53 |
2 |
2011 |
영어와문학
Nasal Place Assimilation in Korean and English
영어영문학연구 |
54 |
1 |
2012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