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성

연구분야 : E159900 의약학 > 정신과학 > 기타정신과학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6539

한자 : 潛在性
영어 : virtual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성질 [ 性質 ]

4·19혁명의 유산과 궁핍한 시대의 리얼리즘 ―1960~70년대 백낙청의 비평과 역사의식

The Legacy of Revolution and Realism of the Age of Poverty(dürftige Zeit) ―Criticism of Paik Nak-chung in 1960~1970's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용, 어린이, 여성: 『테하누』의 가부장제 다시쓰기

Dragons, Children and Women: Rewriting Patriarchy in Tehanu

현대영미소설 | 18 | 2 | 2011 | 영어와문학

아우슈비츠의 수치: 프리모 레비의 증언집을 중심으로

The Shame of Auschwitz: On Primo Levi’s Testimony

비평과이론 | 16 | 2 | 2011 | 영어와문학

문화번역의 정치성: 이국성의 해방과 이웃되기

Politics of Cultural Translation: the Emancipation of Foreignness and Becoming Neighbors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문화번역의 정치성: 이국성의 해방과 이웃되기

Politics of Cultural Translation: the Emancipation of Foreignness and Becoming Neighbors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시퀀스의 잠재성에 관한 연구 -본인의 비디오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tentiality of Sequences -Based on My Video Works-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9 | 4 | 2011 | 예술일반

김수영 시와 산문에 나타난 ‘시뮬라크르’의 정치학

A Study on Politics of ‘Simulacre’ in Kim, Soo-Yung's Poetry and Prose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들뢰즈에 있어 형상(形象)의 미학이란 무엇인가? – 『감각의 논리』(1981)에 나타난 회화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Qu'est ce que l'esthétique de la figure chez Deleuze?

美學(미학) | 64 | 2010 | 철학

들뢰즈에 있어 형상(形象)의 미학이란 무엇인가? – 『감각의 논리』(1981)에 나타난 회화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Qu'est ce que l'esthétique de la figure chez Deleuze?

美學(미학) | | 64 | 2010 | 철학

세계 창조에 관한 세 가지 유형들- ‘가능적인 것’과 ‘잠재성들’ 그리고 ‘여래장’ -

Three Patterns on World-Creation: The Potential, Virtualities, and Tathagatagarbha

화이트헤드 연구 | 23 | 2012 | 서양철학일반

《한여름 밤의 꿈》의 숲-장소와 질 들뢰즈의 잠재성

Forest - a place of《A Midsummer Night's Dream》and Gilles Deleuze's virtuality

연극교육연구 | 17 | 2010 | 연극교육

《한여름 밤의 꿈》의 숲-장소와 질 들뢰즈의 잠재성

Forest - a place of《A Midsummer Night's Dream》and Gilles Deleuze's virtuality

연극교육연구 | 17 | | 2010 | 연극교육

스포츠신동과 스포츠성인영재의 수월성을 통해 본 스포츠영재의 잠재성

Presumption for Sport Talented's Potential through Excellence in Sport Prodigy and Adult Athletes

체육과학연구 | 21 | 4 | 2010 | 체육

스포츠신동과 스포츠성인영재의 수월성을 통해 본 스포츠영재의 잠재성

Presumption for Sport Talented's Potential through Excellence in Sport Prodigy and Adult Athletes

체육과학연구 | 21 | 4 | 2010 | 체육

초기배아의 헌법상 지위

Der verfassungsrechtliche Status des Embryos in vitro

헌법학연구 | 17 | 2 | 2011 | 헌법

‘보편주의’와 ‘보편성’의 사이 : 스코틀랜드 계몽과 국민문학

「普遍主義」と「普遍性」のあいだ : スコットランド啓蒙と「国民文学」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원망문에서 비한정 대명사와 동사 상의 사용

The Use of Indefinite Pronouns and Aspects in Optative Sentences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7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베르그손의 생성의 존재론과 메를로-퐁티의 살의 존재론

Bergson’s Ontology of Becoming and Merleau-Ponty’s Ontology of Flesh (L’ontologie du devenir chez Bergson et l’ontologie de la chair chez Merleau-Pont)

철학연구 | 41 | 2010 | 철학

베르그손의 생성의 존재론과 메를로-퐁티의 살의 존재론

Bergson’s Ontology of Becoming and Merleau-Ponty’s Ontology of Flesh (L’ontologie du devenir chez Bergson et l’ontologie de la chair chez Merleau-Pont)

철학연구 | | 41 | 2010 | 철학

SANAA의 건축에 나타난 잠재성 공간구축에 관한 연구 - 교육·문화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truction of The Virtual Space in Kazuyo Sejima & Nishizawa Ryue's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Planning of Education&Cultural Facilities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6 | 2011 | 기타예술체육

김기덕 영화 <빈집>에 나타난 대항-현행화로서의 교육

Education as the counter-actualization in Kim, Ki-duk's film 3-iron

교육인류학연구 | 15 | 2 | 2012 | 교육학

미술영재의 잠재성 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Assessment of Potential in Artistically Gifted Student

미술교육논총 | 25 | 1 | 2011 | 미술

들뢰즈에서 생명의 잠재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의미

The Metaphyical Meaning of Virtuality of Life in Deleuze

가톨릭철학 | 16 | 2011 | 철학

영화 이미지의 투명성을 둘러싼 논쟁 – 장 미트리를 중심으로

La Transparence de l'image filmique – à partir de Jean Mitry

美學(미학) | 64 | 2010 | 철학

영화 이미지의 투명성을 둘러싼 논쟁 – 장 미트리를 중심으로

La Transparence de l'image filmique – à partir de Jean Mitry

美學(미학) | | 64 | 2010 | 철학

Ito Toyo의 건축에 나타난 잠재성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truction of The Virtual Space in Ito Toyo -Focused on the Planning of Public Facilities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8 | 2012 | 기타예술체육

들뢰즈의 배움론 :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Deleuze's Apprenticeship(Apprendre)

교육문제연구 | 39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