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거절하는 말하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ech acts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터민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거절하는 말하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ech acts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이탈주민의 화행 사용 양상 연구 -칭찬 화행을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compliment speech actsof North Korean refugees
한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이탈주민의 화행 사용 양상 연구 -칭찬 화행을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compliment speech actsof North Korean refugees
한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간접화행과 상의 의미와 용법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Meaning and Usage in Indirect Speech Act and Aspect.
언어과학연구 |
58 |
2011 |
언어학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정 의문문 교육 연구 -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A Study on Korean Negative Questions for Korean Education - by Comparing with Chinese KLs and NPs -
국어교육연구 |
28 |
2011 |
국어교육
태국어의 완곡 표현에 대한 연구
Euphemism in Thai
한국태국학회논총 |
16 |
2 |
2010 |
지역학
태국어의 완곡 표현에 대한 연구
Euphemism in Thai
한국태국학회논총 |
16 |
2 |
2010 |
지역학
간접화행과 발화효과행위
Indirekte Sprechakte und perlokutionäre Effekte
독어학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간접화행과 발화효과행위
Indirekte Sprechakte und perlokutionäre Effekte
독어학 |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아스퍼거장애 아동의 간접 화행 이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Indirect Speech Acts Considering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정서·행동장애연구 |
28 |
1 |
2012 |
특수교육
의미와 형태의 불일치: 수사의문문의 유형과 기능
Inconsistencies Meaning and Form: Types and Functions of Rhetorical Questions
노어노문학 |
23 |
3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간접화행의 인지적 이해모델
Das kognitive Verstehensmodel indirekter Sprechakte
독일어문화권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간접화행의 인지적 이해모델
Das kognitive Verstehensmodel indirekter Sprechakte
독일어문화권연구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우뇌 손상 환자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Comprehension of Indirect Speech Acts in Patients with Right Brain Damage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4 |
2010 |
교육학
우뇌 손상 환자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Comprehension of Indirect Speech Acts in Patients with Right Brain Damage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4 |
2010 |
교육학
의사소통전략으로서의 공손
Höflichkeit als Kommunikationsstrategie
독어교육 |
53 |
53 |
2012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