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시

연구분야 : A040000 인문학 > 종교학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6660

STNet ID : 9001748

한자 : 啓示
영어 : revelation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특별계시 [ 特別啓示 ]

hasKind (종류)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일반계시 [ 一般啓示 ]

hasKind (종류)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사적계시 [ 私的啓示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기초 신학 [ 基礎神學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발현 [ 發顯 ]

‘너희 마음에 떠오르기까지’: 베드로후서 1:19에 나타난 ‘기다림’의 해석학(解釋學)

“Until the Morning Star Arises in Your Hearts”: A Hermeneutics of ‘Attentive Waiting’ as Taught in 2 Peter 1:19

신약연구 | 10 | 3 | 2011 | 신약학

랭보의 『일뤼미나시옹 Illuminations』 연구(2) - 시의 묘사와 계시 -

Étude sur les Illuminations de Rimbaud (2) - La représentation et l'illumination de la poésie -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5 | 2011 | 프랑스문화학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이성 비판과 헤겔 철학에 대한 영향

Friedrich Heinrich Jacobi’s Critique of Reason and Effect on Hegel’s Philosophy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이성 비판과 헤겔 철학에 대한 영향

Friedrich Heinrich Jacobi’s Critique of Reason and Effect on Hegel’s Philosophy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몽중노소문답가」에 나타난 시적 세계

A Poetic World in ‘Mongjungnosomundabga’

동학연구 | 28 | 2010 | 기타인문학

「몽중노소문답가」에 나타난 시적 세계

A Poetic World in ‘Mongjungnosomundabga’

동학연구 | | 28 | 2010 | 기타인문학

신앙과 이성의 관계와 이중진리론 -시제와 토마스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of Faith and Reason and the Double-truth Theory -In the cases of Siger Brabant & Thomas Aquinas-

중세철학 | 17 | 2011 | 철학

신의 음성과 책임: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생각 속의 키에르케고르적 윤리

God’s Voice and Responsibility: The Kierkegaardian Ethic in Levinas’s and Derrida’s Thoughts

한국조직신학논총 | 28 | 2010 | 조직신학

신의 음성과 책임: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생각 속의 키에르케고르적 윤리

God’s Voice and Responsibility: The Kierkegaardian Ethic in Levinas’s and Derrida’s Thoughts

한국조직신학논총 | | 28 | 2010 | 조직신학

퐁트넬의 『신탁의 역사』 - 신탁은 악령의 소행이 아니다

Fontenelle’s History Of Oracles: The Oracles were not made by the demons

문학과 종교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퐁트넬의 『신탁의 역사』 - 신탁은 악령의 소행이 아니다

Fontenelle’s History Of Oracles: The Oracles were not made by the demons

문학과 종교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삼위일체 하느님과 삼신불의 비교 ─계시와 삼매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Holy Trinity and Trikāya ─from the perspectives of Revealation and Samadhi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삼위일체 하느님과 삼신불의 비교 ─계시와 삼매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Holy Trinity and Trikāya ─from the perspectives of Revealation and Samadhi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복음의 변증가 바울과 그의 선언문 -고린도후서 2:14-17

Paulus steht als Apologet in der Korinthischen Gemeinde -2 Kor 2:14-17

신약연구 | 10 | 3 | 2011 | 신약학

깔뱅의 ‘과학’(science) 이해

Calvin’s Understanding of Science

한국조직신학논총 | 26 | 2010 | 조직신학

깔뱅의 ‘과학’(science) 이해

Calvin’s Understanding of Science

한국조직신학논총 | | 26 | 2010 | 조직신학

개혁주의 입장에서 본 성경의 영감과 무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piration and Inerrancy of the Bible in the Reformed Perspectives

한국개혁신학 | 29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초기 이슬람 윤리사상 연구

A Study on Ethical Thought in Early Islam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초기 이슬람 윤리사상 연구

A Study on Ethical Thought in Early Islam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The Vortex and the Gyres: Blake, Yeats, and the Shapes of History

소용돌이와 가이어: 블레이크, 예이츠, 그리고 역사의 형태

한국 예이츠 저널 | 38 | 2012 | 영어와문학

바르트의 계시해석에 나타나는 脫형이상학적 현존의 사유

A Post-metaphysical Thinking of Presence in Barth’s Conception of Revelation

한국조직신학논총 | 29 | 2011 | 조직신학

폴 틸리히의 주-객 통일성의 신학

Paul Tillich’s Subject-Object Uniting Theology

한국조직신학논총 | 29 | 2011 | 조직신학

인간의 실존과 계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을 바탕으로

Th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and the Revelation: Based on the Theolo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신학전망 | 176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역사와 상징 - 역사 참여적 신학을 위한 한 방법론 고찰

History and Symbol: A Methodological Reflection on Historical-Transformative Theology

장신논단 | 40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이슬람 윤리관 -계시와 이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Islamic Ethic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Revelation and Reason-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0 | 1 | 2010 | 종교학

이슬람 윤리관 -계시와 이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Islamic Ethic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Revelation and Reason-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0 | 1 | 2010 | 종교학

계시와 현존 - 계시의 매개에 대한 바르트의 변증법적 유비론

Revelation and Presence: Barth’s Dialectical, Analogical Understanding of the Mediation of Revelation

장신논단 | 40 | 2011 | 기타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