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표현 글쓰기 - ‘내 슬픔에 대해 글쓰기’를 중심으로
Self-expression writing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writing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표현 글쓰기 - ‘내 슬픔에 대해 글쓰기’를 중심으로
Self-expression writing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writing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윤흥길 성장소설의 세계와 의미
The world and Meaning of Yoon Heung Gil's Growth Novels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
Conversationalized personal storytelling in 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s
언론과 사회 |
19 |
2 |
2011 |
신문방송학
일제말기 소설과 ‘자기’의 정치 - 이석훈 소설론
A Novel in the Late Colonial Period and ‘Self’ Politics- A study on Lee, Suk-Hoon's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외도위기부부의 용서를 위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for Forgiveness of Couples on the Verge of Extramarital Affairs
복음과 상담 |
15 |
|
2010 |
목회상담학
해방기 한국 시의 미학과 윤리 ― 오장환과 설정식을 중심으로
Aesthetics and ethics of Liberation Periods' poetry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자전적 소설의 고백과 주체 재생의 플롯 ― 채만식 「민족의 죄인」, 이기영 「형관」 연구
The Plot of Confession and Subject Recovery in Autobiographical Novels in the Era of Korean Liberation - A Study on 「The Sinner of the People」 by Chae Man-sik, and 「The Crown of Thorns」 by Lee Gi-yeong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11․12세기 소뮈르 지역의일방신명재판에 관한 고찰 -『성 플로랑(Saint Florent) 수도원의 검은색 표지의 문서집』을 중심으로-
Reflection on the unilateral ordeal around Saumur in the XIth and the XIIth centuries
중앙사론 |
35 |
2012 |
역사학
해방기 이광수 문학의 자전적 글쓰기의 전략과 의미 - 『돌베개』와 『나의 고백』을 중심으로
The Strategy of 'The Autobiographical Writing' of the Liberation Lee Guang-su Literature and Meaning -focused on (돌베개) and (나의 고백)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나환과 소문, 소록도의 기억 - 나환 인식과 규율체제의 형성에 관한 언술 분석적 접근
The Leprosy and Rumors, Memories of Sorokdo: A philologic analysis on the acknowledgement and Regulation system on lepros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나환과 소문, 소록도의 기억 - 나환 인식과 규율체제의 형성에 관한 언술 분석적 접근
The Leprosy and Rumors, Memories of Sorokdo: A philologic analysis on the acknowledgement and Regulation system on lepros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서의 신인식의 근거로서의 기억개념
Memoria concept as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God in the thought of Augustinus
동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이오네스코의 『의무의 희생자들 Victimes du devoir』에 나타난 자전적 요소들
Les Éléments autobiographiques dans Victimes du devoir de Ionesco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2010 |
프랑스문화학
이오네스코의 『의무의 희생자들 Victimes du devoir』에 나타난 자전적 요소들
Les Éléments autobiographiques dans Victimes du devoir de Ionesco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
2010 |
프랑스문화학
김수영과 긴스버그 시의 비교 고찰 -부정의식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Kim Soo-Young and Ginsberg’ Poetry - Centered on the Realized Aspect of Negative Consciousness -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과 긴스버그 시의 비교 고찰 -부정의식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Kim Soo-Young and Ginsberg’ Poetry - Centered on the Realized Aspect of Negative Consciousness -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푸코 후기 철학에서 ‘주체성(subjectivité)’과 ‘진실(vérité)’의 문제
La question de la subjectivité et de la vérité dans la philosophie du dernier Foucault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서러움’의 정치적 무의식 ― 역사적 신체로서 한하운의 자전(自傳)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Sorrow’ ― Han Ha-un’s autobiography as a historical bod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하나님과 대화로서의 <고백록>-<고백록> '서론'을 통한 <고백록> 이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0 |
2010 |
기독교신학
하나님과 대화로서의 <고백록>-<고백록> '서론'을 통한 <고백록> 이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70 |
2010 |
기독교신학
로베르 르파주의 『고백 Le confessionnal』에 나타나는 영화작가의 이미지
L'image de cinéaste dans le Confessional de Robert Lapage
불어불문학연구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로베르 르파주의 『고백 Le confessionnal』에 나타나는 영화작가의 이미지
L'image de cinéaste dans le Confessional de Robert Lapage
불어불문학연구 |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운명’과 ‘고백’ 사이 : 1930년대 후반에서 해방기까지 임화의 시쓰기
Relation between 'Destiny' and 'Confession'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백>의 시대와 <자기개조>의 욕망
<告白>の時代と<自己改造>の欲望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노라’를 바라보는 염상섭과 루쉰의 시선 - 염상섭의 「제야」와 루쉰의 「傷逝」를 중심으로
The Views on Look at "Nora" by Yeom Sang-seop and Lu Xun - With a focus on their acceptance of A Doll's House and fictional variations of it between Korea and China
비교문학 |
50 |
2010 |
인문학
‘노라’를 바라보는 염상섭과 루쉰의 시선 - 염상섭의 「제야」와 루쉰의 「傷逝」를 중심으로
The Views on Look at "Nora" by Yeom Sang-seop and Lu Xun - With a focus on their acceptance of A Doll's House and fictional variations of it between Korea and China
비교문학 |
|
50 |
2010 |
인문학
고백의 서사와 도스토예프스키 -『미성년』을 중심으로
Повествованине Исповеди и Достоевский - на Материале Романа <Подросток>
러시아연구 |
22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