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즘

연구분야 :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6799

STNet ID : 9000840

한자 :
기타 : Akademismus
영어 : academism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인문평론 (1939-1941) [ 人文評論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저널리즘 () [journalism]

RT (관련어)

 

 

상아탑

‘사회’의 문학․반행동주의․아카데미즘: 1950년대 『사상계』의 문학성 인식과 최재서의 전략

Literature of ‘Society’․Anti-Activism․Ancademism : Awareness of Literary Value in Sasanggye in the 1950’s and Jae-Seo Choi’s Strategy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문학개론의 지형 -잡지를 중심으로 본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일면

Topography of the introduction to literature in the colonial era -One aspect of literary academism focused on magazines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박치우와 [현대일보]

Chi-U Pak und die Hyun-Dae Tageszeitung

범한철학 | 63 | 4 | 2011 | 철학

파시즘기 외국문학의 존재방식과 교양 - <인문평론>을 중심으로

The Existential Mode of Foreign Literature and Culture(Bildung) the Fascist Period Focusing on In Mun Pyung Lon -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 : 1940년을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인문평론』이라는 아카데미, 그 실천의 임계

The ‘Arbeitization’ of Novel, The (Unfinished) Project of Roman : Kim, Nam-Cheon around 1940’s, Criticism on Humanities as An Academy, and Its Limit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도와 문학 : 문학의 아카데미즘화와 학술적 글쓰기의 형성

System And Literature: Academism of Literature and Formation of Academic Writi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도와 문학 : 문학의 아카데미즘화와 학술적 글쓰기의 형성

System And Literature: Academism of Literature and Formation of Academic Writi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사회학장의 낮은 자율성과 한국 사회학자들의 역할 정체성 혼란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 사회학장의 낮은 자율성과 한국 사회학자들의 역할 정체성 혼란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