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연

연구분야 : A020302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중세사1(위진수당)

클래스 : 국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485

한자 : 後燕

x01-02 국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오호십육국 (304-439) [ 五胡十六國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선비족 [ 鮮卑族 ]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모용수 () [ 慕容垂 ]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모용선비 [ 慕容鮮卑 ]

廣開土王의 遼西地方 進出에 대한 고찰

Political Climate of the Liaoxi(遼西) Region and the Western Advance of Koguryo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백제 정벌(征伐)이 가진 의미에 대하여 -392년~394년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Invading Baekje by King Gwanggaeto of Goguryo -Focusing on between 392 A.D.~394 A.D. -

대한정치학회보 | 1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長壽王代 北燕民 刷還에 대한 一檢討

The Repatriation of the Bukyeon(北燕)'s People in the Reign of Koguryo's King Changsu(長壽王)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長壽王代 北燕民 刷還에 대한 一檢討

The Repatriation of the Bukyeon(北燕)'s People in the Reign of Koguryo's King Changsu(長壽王)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후연 정벌

Conquest of King Gwanggaeto over Huyeon

백산학보 | 92 | 2012 | 역사학

광개토왕대의 정복활동과 고구려 세력권의 구성

Conquest by King Kwanggaet'o and the Formation of the Sovereign Domain of Koguryǒ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