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우제

연구분야 : A020105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사회사(역사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665

STNet ID : 1002640

한자 : 祈雨祭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무제

N1:종류

hasKind (종류)

 

 

국행기우제

hasKind (종류)

 

 

민간기우제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기곡제 [ 祈穀祭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사직단 [ 社稷壇 ]

RT (관련어)

 

 

한재

조선후기 지방의 날씨, 농사ㆍ주민의 삶, 정책의 상호관계: 오횡묵의 『고성총쇄록(固城叢瑣錄)』을 사례로

Interrelation among Weather, Agriculture and People's Life, and Policy in a Local in the Late Choson: In Case of 「Goseong Chongswaerok」 by O Hoeng-muk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조선후기 지방의 날씨, 농사ㆍ주민의 삶, 정책의 상호관계: 오횡묵의 『고성총쇄록(固城叢瑣錄)』을 사례로

Interrelation among Weather, Agriculture and People's Life, and Policy in a Local in the Late Choson: In Case of 「Goseong Chongswaerok」 by O Hoeng-muk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한국 동심원암각화의 상징-물과 관련하여

The Symbols of Korean Concentric Circle Petroglyphs in Relation to Water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전주 덕진연못의 聖池 認識과 관련 儀禮

The pond of Deokjin Park in Jeonju as a sacred place of and its related ritual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전주 덕진연못의 聖池 認識과 관련 儀禮

The pond of Deokjin Park in Jeonju as a sacred place of and its related ritual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