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이후 한국정부의 대북정책 성향 및 전략 비교: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Orientations and Strategies towards the North since their Democratization
국제정치연구 |
13 |
2 |
2010 |
사회과학
민주화이후 한국정부의 대북정책 성향 및 전략 비교: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Orientations and Strategies towards the North since their Democratization
국제정치연구 |
13 |
2 |
2010 |
사회과학
북한의 2차 핵실험과 핵개발 의도
The 2nd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nd hidden intention of nuclear development
한국동북아논총 |
15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북한의 2차 핵실험과 핵개발 의도
The 2nd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nd hidden intention of nuclear development
한국동북아논총 |
15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탈냉전 이후 한반도 문제에 대한 한국 대외정책의 '주도적 위상'과 그 가능성
South Korea's Foreign Policy toward Korean Issues: The Feasibility for Independent Variable and Its Limits
한국과 국제정치 |
27 |
4 |
2011 |
정치외교학
헬싱키 협정의 이행(바스켓Ⅰ): 군비통제의 기원과 동북아에 주는 함의
The Implementation of Helsinki Final Accord(Basket I): The Origin of Arms Control and Its Implication for Northeast Asia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헬싱키 협정의 이행(바스켓Ⅰ): 군비통제의 기원과 동북아에 주는 함의
The Implementation of Helsinki Final Accord(Basket I): The Origin of Arms Control and Its Implication for Northeast Asia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 언론과 대외정책 : 6자회담 보도를 통해서 본 북한 엘리트의 프로파간다 전략
Foreign policy and news media in North Korea : North Korea's media propaganda during the Six-party talks
북한학연구 |
7 |
1 |
2011 |
북한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Impartiality and the Duration of Conflicts Affecting Mediation Strategy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Impartiality and the Duration of Conflicts Affecting Mediation Strategy
통일전략 |
12 |
3 |
2012 |
북한정치/통일
중국의 대 남북한정책의 지속과 동학 - 후진타오 이후 대 남북한관계를 중심으로 -
The Duration and Dynamics of China's Foreign Policies to the tow Koreas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중국의 대 남북한정책의 지속과 동학 - 후진타오 이후 대 남북한관계를 중심으로 -
The Duration and Dynamics of China's Foreign Policies to the tow Koreas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이익균형론을 이용한 한반도 평화체제 재론
Revisiting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Theory of Balance of Interests
통일정책연구 |
19 |
1 |
2010 |
정치외교학
이익균형론을 이용한 한반도 평화체제 재론
Revisiting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Theory of Balance of Interests
통일정책연구 |
19 |
1 |
2010 |
정치외교학
러시아의 동아시아 전략과 6자회담
Russia’s East Asia Strategy and the Six Party Talks
중소연구 |
35 |
1 |
2011 |
사회과학
동북아다자안보협력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전략: 6자회담을 중심으로
The understanding and strategy of China’s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Focusing six-party talks
한국동북아논총 |
15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동북아다자안보협력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전략: 6자회담을 중심으로
The understanding and strategy of China’s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Focusing six-party talks
한국동북아논총 |
15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반도 통일과 중립화단계의 상관관계 고찰
Study on the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and Neutralization of Stage
동북아연구 |
27 |
1 |
2012 |
국제관계/협력
South Korea’s Tough Stance towards the North - Why it has to continue -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왜 지속되어야만 하는가?
신아세아 |
18 |
2 |
2011 |
정치외교학
동북아 다자안보의 적실성과 추진전략 연구
A Research on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 East Asian Reg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4 |
1 |
2012 |
정치외교학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U.S.-China Security Relations
오바마 행정부와 미⋅중 안보관계
비교민주주의연구 |
7 |
2 |
2011 |
정치권력/정치과정
China’s Role in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China’s Role in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반도 비핵화와 한국의 역할
The Korean Role in the Process of Denuclearization of Korean Peninsula
평화학연구 |
12 |
1 |
2011 |
정치외교학
한반도 위기상황에서 한국의 역할 - 제2차 북핵위기 사례연구 -
The Role of South Korea in Korean Peninsula Crisis - The Case Study of Second North Korea Nuclear Crisis -
민주주의와 인권 |
10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반도 위기상황에서 한국의 역할 - 제2차 북핵위기 사례연구 -
The Role of South Korea in Korean Peninsula Crisis - The Case Study of Second North Korea Nuclear Crisis -
민주주의와 인권 |
10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한반도의 미래:북핵문제와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Chinese Foreign Policy Towards East Asia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국가안보와 전략 |
10 |
2 |
2010 |
정치외교학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한반도의 미래:북핵문제와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Chinese Foreign Policy Towards East Asia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국가안보와 전략 |
10 |
2 |
2010 |
정치외교학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에 따른 동북아 안보협력체제 구축의 방향 모색
Exploring Directions for Building the Northeast Asia's Security and Cooperation System on the Changes of the Security Conditions in Northeast Asia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에 따른 동북아 안보협력체제 구축의 방향 모색
Exploring Directions for Building the Northeast Asia's Security and Cooperation System on the Changes of the Security Conditions in Northeast Asia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오바마 행정부와 북핵 해결의 전망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the Prospects for the Resolution of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1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오바마 행정부와 북핵 해결의 전망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the Prospects for the Resolution of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1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북핵문제에 대한 미국의 강압외교 평가와 대안
Evaluation on and alternatives for coercive diplomacy by the States towar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대한정치학회보 |
2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21세기 한반도 평화와 한미동맹관계의 진화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volution of the ROK-U.S. Alliance in the 21st Century
한국동북아논총 |
17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북핵협상 20년의 평가와 교훈
Critical Review of and Lessons from the Nuclear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for Twenty Years
한국과 국제정치 |
27 |
1 |
2011 |
정치외교학
제5장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 변화와 전망 -
The North Korean Policy of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Korea-America Relationship: Change and Perspective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5장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 변화와 전망 -
The North Korean Policy of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Korea-America Relationship: Change and Perspective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북미관계와 6자회담 추진 전망
A Study of Relations of North Korea-the U.S. since the Inauguration of Obama Administration and Prospects for Results after Resumption of Six-Party Talks
동서연구 |
22 |
1 |
2010 |
지역학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북미관계와 6자회담 추진 전망
A Study of Relations of North Korea-the U.S. since the Inauguration of Obama Administration and Prospects for Results after Resumption of Six-Party Talks
동서연구 |
22 |
1 |
2010 |
지역학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대외 프로파간다 전략: 〈조선중앙통신〉과〈조선신보〉의 6자회담 보도를 중심으로
North Korea’s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the Foreign Propaganda Strategies on KCNA and the Choson Sinbo
커뮤니케이션 이론 |
8 |
1 |
2012 |
신문방송학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이 한반도 비핵화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North Korea's Policy of the Rho Tae Woo Government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통일전략 |
12 |
2 |
2012 |
북한정치/통일
김정일 사후(死後) 남북관계 전망과 우리의 대북정책 방향
Changing Inter-Korean Relations after Kim Jong-il and Desirable ROK’s Response
신아세아 |
19 |
2 |
2012 |
정치외교학
천안함 사태가 북핵 6자회담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 평화안보협력체제 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Influences of the Cheonan Incident on the Six-Party Talks on North Korean Nuclear Issues : With Special Regard to the Establishment of a Northeast Asian Peace and Security Regime
아시아연구 |
13 |
2 |
2010 |
지역학
천안함 사태가 북핵 6자회담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 평화안보협력체제 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Influences of the Cheonan Incident on the Six-Party Talks on North Korean Nuclear Issues : With Special Regard to the Establishment of a Northeast Asian Peace and Security Regime
아시아연구 |
13 |
2 |
2010 |
지역학
South Korea’s Sunshine Policy Revisited:Interest, Institutions and Policy Change
한국 햇볕정책의 재평가: 이익, 제도 및 정책변화
통일연구 |
14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South Korea’s Sunshine Policy Revisited:Interest, Institutions and Policy Change
한국 햇볕정책의 재평가: 이익, 제도 및 정책변화
통일연구 |
14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오바마-이명박 정부의 북핵 정책에 대한 비판적 평가: 반주변의 시각
A Critical Assesment on the Obama and Myungbak Lee Administration’s Policies towar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from the Semi-Periphery Perspective
국제정치논총 |
52 |
2 |
2012 |
정치외교학
네트워크의 시각으로 보는 북핵 문제의 국제정치: 6자회담의 네트워크 동학
Networked Politics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Network Dynamics in the Six-Party Talks
신아세아 |
17 |
2 |
2010 |
정치외교학
네트워크의 시각으로 보는 북핵 문제의 국제정치: 6자회담의 네트워크 동학
Networked Politics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Network Dynamics in the Six-Party Talks
신아세아 |
17 |
2 |
2010 |
정치외교학
2차 북핵위기와 6자회담의 결정요인과 과정: 양면게임이론적 분석
A Two-Level Game Analysis of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the Six-Party Talk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2차 북핵위기와 6자회담의 결정요인과 과정: 양면게임이론적 분석
A Two-Level Game Analysis of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the Six-Party Talk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핵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인식과 정책적 지향: 중국과의 입장차를 중심으로
Russia's Perspectives and Policy Orientations on North Korea Nuclear Problem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핵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인식과 정책적 지향: 중국과의 입장차를 중심으로
Russia's Perspectives and Policy Orientations on North Korea Nuclear Problem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의 대(對)일 협상전략 −약소국과 중견국의 외교행태와 협상목표를 중심으로−
North Korea’s ‘Small Power Diplomacy’ with Japan and Six-Party Talks
대한정치학회보 |
1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동북아 다자적 협력 질서 변화와 6자 회담: 다자적 협상과 지역질서 변화를 중심으로
The 6 Party Talk and Change in Northeast Asia’s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Dynamics of the Multilateral Negotiation and Its Impact on the Regional Order
국제.지역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북핵문제의 협상학: 이론과 실제
Politics of Negotiation on Denuclearizing North Korea: Theory and Practice
전략연구 |
17 |
50 |
2010 |
정치외교학
북핵문제의 협상학: 이론과 실제
Politics of Negotiation on Denuclearizing North Korea: Theory and Practice
전략연구 |
17 |
50 |
2010 |
정치외교학
북핵문제와 동북아 6자회담의 지정학: 역사적 성찰과 전망
The Geopolitic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Six-Party Talks: Retrospect and Prospect
한국과 국제정치 |
27 |
1 |
2011 |
정치외교학
The Obama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and Prospects of Six-Party Talks
한국동북아논총 |
15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The Obama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and Prospects of Six-Party Talks
한국동북아논총 |
15 |
4 |
2010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