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대표제

연구분야 : B0204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의회/정당/선거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9889

한자 : 比例代表制
영어 : proportional representation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 특성(성질) 특성(성질)

불비례성 [ 不比例性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선거 제도 [ 選擧制度 ]

isKindOf (상위 유형)

관련 제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합의제 민주주의 () [ 合議制民主主義 ]

R1:개념적

RT (관련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연합 정부 () [ 聯合政府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직능 대표제 [ 職能代表制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혼합형 선거제도 [ 混合型選擧制度 ]

RT (관련어)

관련제도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 [ 第十七代 國會議員 總選擧 ]

RT (관련어)

관련제도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투표 가치 등가성 원칙 [ 投票價値等價性原則 ]

복수노조 시행과 노사관계 안정화 방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Unions and the Stabilization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경희법학 | 46 | 4 | 2011 | 비교법학

선거제도와 선거운동

Election System and Election Campaign

저스티스 | 130 | 2012 | 기타법학

기초의회 지역구 여성의원의 당선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선거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Women Councilors' Winning Determinants of Local Election -Focusing on the Election System-

한국지방자치연구 | 14 | 1 | 2012 | 기타행정학

Measuring the Malapportioned Effects of Redistricting in Korea

한국 선거구획정의 의석재분배 불균형 효과 측정

한국정치학회보 | 45 | 6 | 2011 | 정치외교학

제19대 총선: 불평등한 선거제도와 전국적 정당체제의 도전

Political Polarization and the Lack of Nationalization in South Korea’s Party System

국가전략 | 18 | 2 | 2012 | 정치외교학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변천에 관한 고찰 -제11대에서 제18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Zum geschichtlichen Verlauf des Parlamentswahlsystems

토지공법연구 | 50 | 2010 | 법학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변천에 관한 고찰 -제11대에서 제18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Zum geschichtlichen Verlauf des Parlamentswahlsystems

토지공법연구 | 50 | | 2010 | 법학

의회선거 투표율에 대한 대통령선거제도의 영향력 분석

A Panel Analysis of the Effect of Presidential Electoral System on the Turnout-Rate of Legislative Elections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3 | 2010 | 정치외교학

의회선거 투표율에 대한 대통령선거제도의 영향력 분석

A Panel Analysis of the Effect of Presidential Electoral System on the Turnout-Rate of Legislative Elections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3 | 2010 | 정치외교학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방안: 선거참여를 중심으로

A Study on Alternatives for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Electoral Participation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4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2010년 총선 이후 영국에서의 비례대표제 논의: 자유민주당과 시민운동의 역할

The Debate on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Britain after General Election 2010: The Role of the Liberal Democrats and Civil Movements

영국연구 | 23 | 2010 | 역사학

2010년 총선 이후 영국에서의 비례대표제 논의: 자유민주당과 시민운동의 역할

The Debate on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Britain after General Election 2010: The Role of the Liberal Democrats and Civil Movements

영국연구 | | 23 | 2010 | 역사학

복지국가 건설과 ‘포괄정치’의 작동을 위한 선거제도 개혁

Electoral Reform for the Building of the Korean Welfare State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19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South Korea’s Electoral System from Constitutional Democracy Perspectives

한국 공직선거법제의 입헌민주주의 관점에서의 분석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South Korea’s Electoral System from Constitutional Democracy Perspectives

한국 공직선거법제의 입헌민주주의 관점에서의 분석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중심으로

The Changes of Electoral Systems for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Effects: Focused on Electoral District Structure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중심으로

The Changes of Electoral Systems for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Effects: Focused on Electoral District Structure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일본 선거제도 개혁과 석패율제도의 효과: 한국에의 시사점

Japanese Election System Reforms and the Effect of Sekihairitsu Rule: Implication to Korean Electoral Reforms

한국정치연구 | 19 | 3 | 2010 | 한국정치사회

일본 선거제도 개혁과 석패율제도의 효과: 한국에의 시사점

Japanese Election System Reforms and the Effect of Sekihairitsu Rule: Implication to Korean Electoral Reforms

한국정치연구 | 19 | 3 | 2010 | 한국정치사회

독일 선거제도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 국회의원선거제도를 중심으로 ―

What Should We Learn from the German Election System? ― Focused on the Election System of Assemblymen ―

공법연구 | 40 | 3 | 2012 | 법학

영국의 선거제도 개혁논의와 다수제 민주주의

A Study on the electoral reform in Britain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영국의 선거제도 개혁논의와 다수제 민주주의

A Study on the electoral reform in Britain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