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선거

연구분야 : B0204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의회/정당/선거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9895

한자 : 政策選擧
영어 : policy election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선거 [ 選擧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매니페스토 [Manifesto]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정책 성향 [ 政策 性向 ]

RT (관련어)

 

 

정책 논의 [ 政策論議 ]

RT (관련어)

 

 

정책 방향 () [ 政策方向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이념 성향 [ 理念性向 ]

소셜미디어 매개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활성화 방안

A Study of Activation Plan Policies Election Mediated Social Media

한국정당학회보 | 11 | 2 | 2012 | 정치권력/정치과정

한국의 정당정치와 매니페스토 운동: 제19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Party Politics and Manifesto Movement in Korea: With Focus o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동북아연구 | 27 | 1 | 2012 | 국제관계/협력

ローカル․マニフェストの批判的検討

로컬 메니페스토의 비판적 검토

지방자치법연구 | 10 | 4 | 2010 | 법학

ローカル․マニフェストの批判的検討

로컬 메니페스토의 비판적 검토

지방자치법연구 | 10 | 4 | 2010 | 법학

정책선거 개념의 재정립을 통한 제5회 지방선거의 정책성향 평가

Evaluating the Policy Orientedness of the 5th Local Election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Policy-based Elections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1 | 2012 | 정치외교학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정책선거: 선거공론장으로서의 SNS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d Policy-Oriented Election: SNS as the Election Public Sphere

인문사회과학연구 | 36 | 2012 | 학제간연구

정책선거와 매니페스토 운동: 2010년 제 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가

Policy-Centered Election and Manifesto Movement: Evaluation of the 5th Local Elections in 2010

동서연구 | 22 | 2 | 2010 | 지역학

정책선거와 매니페스토 운동: 2010년 제 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가

Policy-Centered Election and Manifesto Movement: Evaluation of the 5th Local Elections in 2010

동서연구 | 22 | 2 | 2010 | 지역학

정책선거의 구조적 취약성: 18대 국회의원 선거과정을 중심으로

Institutional Weakness for Policy Election in the Process of the 18th Election for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한국행정논집 | 22 | 4 | 2010 | 행정학

정책선거의 구조적 취약성: 18대 국회의원 선거과정을 중심으로

Institutional Weakness for Policy Election in the Process of the 18th Election for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한국행정논집 | 22 | 4 | 2010 | 행정학

제19대 총선에서 한국정당들의 정책경쟁: 총선공약에서 나타난 정책적 일관성과 차별성을 중심으로

Policy Contestation of Korean Political Parties in the 2012 Legislative Election

인문사회과학연구 | 36 | 2012 | 학제간연구

선거아젠다 이슈가 후보의 가시성에 미친 영향: 17대 대선을 중심으로

Impact of the Electoral Agenda Issues on the Visibility of the 17th Presidential Candidates

국가전략 | 17 | 1 | 2011 | 정치외교학

정책선거를 위한 언론보도의 역할에 관한 연구: 광주 동구 선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s of Press Coverage for a Policy-Based Election: with a Focus on the Dong-gu Election District of Gwangju

인문사회과학연구 | 36 | 2012 | 학제간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