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획정

연구분야 : B0204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의회/정당/선거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9932

한자 : 選擧區劃定
영어 : redistricting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선거 결과 [ 選擧結果 ]

basesOn (근거/토대)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선거구 법정주의 () [ 選擧區法定主義 ]

hasIssue (이슈/주제)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인구 () [ 人口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투표 [ 投票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게리맨더링 [gerrymandering]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등가성 [ 等價性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선거구획정위원회 [ 選擧區劃定委員會 ]

한국의 선거구 획정과 투표가치의 평등성

Korea’s Precincts and Political Equality : One Person – One vote – One Value

대한정치학회보 | 19 | 3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개정 공직선거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Problem Of the newly-revised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nd its Reform Measure

공법학연구 | 13 | 2 | 2012 | 법학

Measuring the Malapportioned Effects of Redistricting in Korea

한국 선거구획정의 의석재분배 불균형 효과 측정

한국정치학회보 | 45 | 6 | 2011 | 정치외교학

선거구획정의 기본문제 -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문제점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The Issues of Electoral Districting - A Comparative Review of Problems in Electoral Districting for the Election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

공법학연구 | 13 | 3 | 2012 | 법학

선거구제도에 관한 새로운 試論 ― 소위 도농복합선거구제의 수용가능성 논의 ―

A Study on Commentary on the new electoral district system ― The possibility of the so-called Urban & Rural Complex election district ―

세계헌법연구 | 18 | 1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