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투표

연구분야 : B0204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의회/정당/선거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094

STNet ID : 9002433

한자 : 電子投票
영어 : electronic voting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t

전자적으로 투표를 하기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전자적 방법 [ 電磁的 方法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2009년 상법개정안 () [ 二〇〇九年商法改正案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지배 구조 [ 支配構造 ]

RT (관련어)

 

 

전자 정보 [ 電子情報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전자 주주 총회 [ 電子株主總會 ]

주주의 의결권 행사방법의 편의성 제고와 그 문제점

The Legal Problems of Exercise Methods of Shareholders' Voting Right under the Commercial Law Amended in 2009

법학연구 | 13 | 3 | 2010 | 법학

주주의 의결권 행사방법의 편의성 제고와 그 문제점

The Legal Problems of Exercise Methods of Shareholders' Voting Right under the Commercial Law Amended in 2009

법학연구 | 13 | 3 | 2010 | 법학

자본시장법상 투자신탁 수익자총회의 문제점 검토

The Legal Problems of the General Meeting of Beneficiaries under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법과정책연구 | 11 | 4 | 2011 | 법학

개정상법상 전자투표제도와 주요 법적 논점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Introduced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Code and its Main Legal Issues

법학연구 | 38 | 2010 | 법학

개정상법상 전자투표제도와 주요 법적 논점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Introduced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Code and its Main Legal Issues

법학연구 | | 38 | 2010 | 법학

전자민주주의에 있어 전자투표에 관한 연구:전자투표의 한계극복을 위한 e-리더십의 제고

E-Democracy Research on Electronic Voting: Enhancement of E-Leadership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Electronic Voting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15 | 3 | 2012 | 사회과학정보

주주총회의 전자투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lectronic ballot of the Shareholders Meetings

법학논고 | 34 | 2010 | 법학

주주총회의 전자투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lectronic ballot of the Shareholders Meetings

법학논고 | | 34 | 2010 | 법학

전자투표제도에 관한 헌법적 고찰

Constitutional study on electronic voting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전자투표제도에 관한 헌법적 고찰

Constitutional study on electronic voting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전자투표와 정보격차: 디지털 활용성 격차가 전자투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lectronic Voting and Digital Divid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Attitudes toward Electronic Voting

한국정치학회보 | 45 | 2 | 2011 | 정치외교학

전자투표(E-Voting) 거버넌스: 스위스와 네델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E-Voting Governance Focusing on Cases of Swiss and Netherland

평화연구 | 19 | 2 | 2011 | 정치외교학

株主 議決權 行使의 電子化에 따른 法的 課題 ― 2009年 改正商法을 中心으로 ―

Legal Tasks Associated with Electronic Exercise of Shareholders' Voting Rights

서울법학 | 18 | 1 | 2010 | 법학

株主 議決權 行使의 電子化에 따른 法的 課題 ― 2009年 改正商法을 中心으로 ―

Legal Tasks Associated with Electronic Exercise of Shareholders' Voting Rights

서울법학 | 18 | 1 | 2010 | 법학

공직선거에서의 전자투표제도 도입을 위한 단계적 접근

An Approach by stage for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Voting System on Public Election

중앙법학 | 13 | 2 | 2011 | 법학

전자투표제도 도입 이후 주주총회의 변화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shareholders' Meeting After Introduction of Electronic Voting System

성균관법학 | 23 | 1 | 2011 | 법학

후보자들에 의한 선거의 공정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투표 기법

The Mobile Voting Scheme Providing Voting Fairness Assured by Candidates

디지털융복합연구 | 10 | 2 | 2012 | 기타과학기술학

전자투표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치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14 | 3 | 2011 | 사회과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