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작

연구분야 : A100300 인문학 > 문학 > 문예창작

클래스 : 개혁(개편/재편/혁신)
기법/방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1

STNet ID : 1000072

한자 : 改作
영어 : adaptation
영어 : adaption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행위자1

작가 (作家)

행위대상(자)1

작품 (作品)

d04-01 기법/방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수정 [ 修正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개작 양상 () [ 改作樣相 ]

resultsIn (산물/결과)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개작본 [ 改作本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원작 [ 原作 ]

송영의 근대단편소설 <아버지>를 통해 살펴본 활자본 소설의 향유 양상

An aspect of enjoyment of the printed fiction which is examined through the short story by Song Young

고전과 해석 | 10 | 2011 | 국문학사

중국 서사의 전파와 조선적 수용의 가능성

The propagation of Chinese narrative literature to Joseon and the possibility of “Joseon style accommodation proces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京板 春香傳의 改作方向에 대한 再論

Study on the Revision of Woodblock Printed 「Chunyangchu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Something Cloudy, Something Clear, 실험적 회상극

Something Clear, Something Cloudy as an Experimental Memory Play

현대영미드라마 | 25 | 1 | 2012 | 현대영미희곡

김말봉의 『佳人의 市場』 개작과 여성운동

A Adaptation to Kim Mal-Bong's 『Cain's Market』 and Liberation for Female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정한 소설의 연구 현황과 과제

The Present and Future Direction of Studying Kim, Jeong-han's Novels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정한 소설의 연구 현황과 과제

The Present and Future Direction of Studying Kim, Jeong-han's Novels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세책본 고소설의 개작 양상 -<화충선생전>을 중심으로-

Adapting Aspests of Korean Classical Novels for Lending —Focused on Hwachungsunsaengjeon—

반교어문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망각과 왜곡의 글쓰기를 통한 자기합리화 과정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 <해방전후>를 중심으로-

Self-justification process through the oblivion and distortion writing Focusing on Lee tae-jun's “The moonlight night of the thought”,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해조 <구의산>의 <조생원전> 개작 양상 연구

The Study on Aspects of Adaptation Yi-Hae-Jo's from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교과서 제재로서의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일고찰

The Possibility of Yetnalyetjeoke Hwoihwoi as a Material in High School Textbooks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교과서 제재로서의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일고찰

The Possibility of Yetnalyetjeoke Hwoihwoi as a Material in High School Textbooks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리찬의 김일성장군의 노래의 ‘개작’과 ‘발견’의 과정 연구

A study on a process of the adaptation and discovery of Ri Chan(李燦)'s Song of General Kim Ilsung

한국문예비평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리찬의 김일성장군의 노래의 ‘개작’과 ‘발견’의 과정 연구

A study on a process of the adaptation and discovery of Ri Chan(李燦)'s Song of General Kim Ilsung

한국문예비평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소년 문학의 특성에 대한 연구 - 단순화와 대체를 중심으로 -

Étude sur la spécificité de la littérature de jeuness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5 | 2011 | 프랑스문화학

<춘향전> 외연의 한 양상 —한문본 <春香新說> 및 일본어본 <鷄林情話春香傳>을 중심으로

The extended narrative of Chunhyang-jeon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충청도 방언과 충청도 문학 —정지용의 「향수」에 쓰인 충청도 방언을 중심으로—

The Chungcheong-do Dialect and The Chungcheong-do Literature - centering around the 「향수」 of Jeong, Jiyong's poem -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탁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The Turbid Stream』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탁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The Turbid Stream』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치젼> 원본 연구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그리고<국치젼>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치젼> 原本研究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そして<국치젼>-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치젼> 원본 연구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그리고<국치젼>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치젼> 原本研究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そして<국치젼>-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燕巖 朴趾源의 「伯姊贈貞夫人朴氏墓誌銘」 연구 -개작 과정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Yeounarm Jiwon Park's The Epitaph of the Grave of Mrs Park, the Noble Lady and Eldest Sister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燕巖 朴趾源의 「伯姊贈貞夫人朴氏墓誌銘」 연구 -개작 과정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Yeounarm Jiwon Park's The Epitaph of the Grave of Mrs Park, the Noble Lady and Eldest Sister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국치젼> 원본 연구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그리고<국치젼>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치젼> 原本研究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そして<국치젼>-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치젼> 원본 연구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그리고<국치젼>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치젼> 原本研究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そして<국치젼>-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피천득 시세계의 변모와 그 의미

A Study on the Changes of Pi Chyun Deuk’s Poetic World and Their Significance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설야의 <모자>와 해방기 소련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Han Seolya’s Cap(帽子) and Awareness of the Soviet Union in the Age of Liberation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설야의 「승냥이」의 각색 양상 연구

A study on how Han Sulya’s A Korean wolf was adapted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천주가사 〈사향가〉 개작본의 텍스트 구조 대조 분석

A Text Structure Comparison of the variants of the revised Sahyangga, a Korean Roman Catholic Didactic Poem.

교회사연구 | 36 | 2011 | 교회사

문학과 정치 - 한설야의 「력사」의 개작과 평가의 문제성

Literature and Politics - The Problematic Adaptation and Evaluation of Han Sulya’s History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천변풍경>의 개작에 따른 작품 효과의 변화 -연재본과 단행본의 비교-

On the change of work effect according to revision of Cheon-byeon-pung-gyeong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임화정연>의 현대적 출판과 개작의 특징 - 1962년 을유문화사 판 최인욱 본 <임화정연>을 중심으로 -

Modern Publishing of and its leading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the modern version of adapted by ChoiInWook at Eulyoo in 1962 -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천변풍경』의 개작 과정 연구 : 판본대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vision of Cheonbyeonpunggyeong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삶의 질. 책, 개작자, 소설 고찰 I:창작 모토에 관한 소설

Исследование романа Качество жизни. Книга. Адаптатор. Роман

슬라브硏究 | 27 | 2 | 2011 | 지역학

『리용악시선집』 재수록 작품의 개작과 그 의미

A Study on the Adaptations of the Works Republished in Selection of Lee Yong-ak's Poems and Their Meanings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박계주 이민소설의 개작문제 연구

The Study of Park Kye-Ju’s Adapted Migration Novels

한중인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계주 이민소설의 개작문제 연구

The Study of Park Kye-Ju’s Adapted Migration Novels

한중인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목단화(牧丹花)>의 개작 양상 연구 -새 자료 개작 텍스트 <화즁왕(花中王)>의 소개와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Focus on as the New Material-

현대소설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목단화(牧丹花)>의 개작 양상 연구 -새 자료 개작 텍스트 <화즁왕(花中王)>의 소개와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Focus on as the New Material-

현대소설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브레히트의 ‘바알 개작’ - 바알 초기판본을 중심으로

Zur ‘Baal-Bearbeitung’ - Unter Berücksichtigung der frühen Baal-Fassungen

독어독문학 | 52 | 3 | 2011 | 독일어와문학

김기림 『시론』의 개작과정 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Kim Ki-Rim's 『Poetics』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시론』의 개작과정 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Kim Ki-Rim's 『Poetics』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김동리 소설 연구 (1) -서지 사항 확인과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DONG-REE KIM’s Short Stories and Novels in the Korean War(1)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설 『여수』의 개작 문제

小説『旅愁』の改稿問題

日本學硏究 | 36 | 2012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