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선거

연구분야 : B020402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지방정치/지방자치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135

한자 : 地方選擧

d02-02 정치/법률제도

관련법률/제도명

지방자치법 (地方自治法)

목적_t

자치 단체의 장 및 지방 의회 의원 선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선거 [ 選擧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주민직선제 [ 住民直選制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감 선거 () [ 敎育監選擧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지방 자치제 [ 地方自治制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지방 정치 () [ 地方政治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지역 사회 조직 [ 地域社會組織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기초자치 단체장 [ 基礎自治團體長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第五回全國同時地方選擧 ]

진보개혁진영의 지역정책 생산 : 6·2 지방선거 이후 광역시도연구원과 광역의회 변화를 중심으로

Progressive Group’s Production of Local Policies : Focusing the change of provincial government think tank and provincial assembly after the local election in 2010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서베이 민주주의(Survey Democracy)?: 6·2 지방선거 후보공천사례를 중심으로

Survey Democracy?: A Case Study of 2010 Regional Election in Korea

한국정치연구 | 19 | 3 | 2010 | 한국정치사회

서베이 민주주의(Survey Democracy)?: 6·2 지방선거 후보공천사례를 중심으로

Survey Democracy?: A Case Study of 2010 Regional Election in Korea

한국정치연구 | 19 | 3 | 2010 | 한국정치사회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방안: 선거참여를 중심으로

A Study on Alternatives for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Electoral Participation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4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생활정치와 로컬 거버넌스의 민주적 재구성

Life Politics and the Democratic Reconstruction of Local Governance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20세기 전환기 영국의 진보연대

Research on the Background and Effect of the Progressive Alliance in Britain

역사비평 | 98 | 2012 | 역사학

한국 정당 엘리트의 사회경제적 배경 비교 연구: 2010년 지방선거에서의 정당별 후보자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Korean Political Parties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3 | 2011 | 정치외교학

정당공천유형과 후보의 본선경쟁력: 2006년 기초자치단체장선거를 중심으로

Candidate Selection Methods and Electoral Competitiveness: A Case Study of 2006 Local Election in Korea

Oughtopia (오토피아) | 25 | 1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정당공천유형과 후보의 본선경쟁력: 2006년 기초자치단체장선거를 중심으로

Candidate Selection Methods and Electoral Competitiveness: A Case Study of 2006 Local Election in Korea

Oughtopia (오토피아) | 25 | 1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지방선거정치의 제도, 이슈 그리고 선거캠페인: 6・2 대구광역시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The Institution, Issue, and Electoral Campaign in Local Electoral Politics

한국정책연구 | 10 | 2 | 2010 | 기타행정학

지방선거정치의 제도, 이슈 그리고 선거캠페인: 6・2 대구광역시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The Institution, Issue, and Electoral Campaign in Local Electoral Politics

한국정책연구 | 10 | 2 | 2010 | 기타행정학

한국의 중선거구제가 선거결과에 미친 영향

Political Effects of Multi-member District Systems in Korea

대한정치학회보 | 18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의 중선거구제가 선거결과에 미친 영향

Political Effects of Multi-member District Systems in Korea

대한정치학회보 | 18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투표용지의 순서효과와 기호효과: 제4회 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선거 분석

Order Effect and Sign Effect of Ballot: Empirical Analysis on The 4thKorean Local Election

한국정치학회보 | 46 | 2 | 2012 | 정치외교학

정치적 영역에서 여성참여를 높이기 위한 정당공천 여성할당제와 남녀평등

Les quatas par sexe pour développer la participation des femmes dans la vie politique et l'égalite des sexes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정치적 영역에서 여성참여를 높이기 위한 정당공천 여성할당제와 남녀평등

Les quatas par sexe pour développer la participation des femmes dans la vie politique et l'égalite des sexes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조직진단 과정에 대한 조직진단 전문가들의 경험과 교훈

The Lesson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of Local Government

한국정책연구 | 10 | 1 | 2010 | 기타행정학

조직진단 과정에 대한 조직진단 전문가들의 경험과 교훈

The Lesson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of Local Government

한국정책연구 | 10 | 1 | 2010 | 기타행정학

지방선거와 웹캠페인: 제5회 서울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A Local Election and Web-Campaign: Focused on the 5th Seoul Mayoral Election

정보사회와 미디어 | 18 | 2010 | 정보/과학기술사회학

지방선거와 웹캠페인: 제5회 서울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A Local Election and Web-Campaign: Focused on the 5th Seoul Mayoral Election

정보사회와 미디어 | | 18 | 2010 | 정보/과학기술사회학

지방선거의 역사적 의미와 6.2지방선거 분석 : 서울시장 선거사례 분석

A Historical Meaning of Regional Elections and an Analysis on the 6.2 Regional Election : A Case Study on Seoul Mayor Election

한국정당학회보 | 9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지방선거의 역사적 의미와 6.2지방선거 분석 : 서울시장 선거사례 분석

A Historical Meaning of Regional Elections and an Analysis on the 6.2 Regional Election : A Case Study on Seoul Mayor Election

한국정당학회보 | 9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선거제도와 선거운동

Election System and Election Campaign

저스티스 | 130 | 2012 | 기타법학

로컬 매니페스토 운동과 민주시민교육

Local Manifesto Campaig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국제정치연구 | 13 | 1 | 2010 | 사회과학

로컬 매니페스토 운동과 민주시민교육

Local Manifesto Campaig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국제정치연구 | 13 | 1 | 2010 | 사회과학

지방선거에 있어서 정당공천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mits and Alternatives of Party Denomination in Local Election

지방정부연구 | 15 | 1 | 2011 | 행정학

지방정부에서 여성정치 리더십: 멕시코의 사례

Liderazgo político de las mujeres en los gobiernos locales de México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3 | 2010 | 지역학

지방정부에서 여성정치 리더십: 멕시코의 사례

Liderazgo político de las mujeres en los gobiernos locales de México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3 | 2010 | 지역학

정책선거와 매니페스토 운동: 2010년 제 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가

Policy-Centered Election and Manifesto Movement: Evaluation of the 5th Local Elections in 2010

동서연구 | 22 | 2 | 2010 | 지역학

정책선거와 매니페스토 운동: 2010년 제 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가

Policy-Centered Election and Manifesto Movement: Evaluation of the 5th Local Elections in 2010

동서연구 | 22 | 2 | 2010 | 지역학

지방정당 대두와 일본 지방정치 활성화; 새로운 지방정당 대두의 배경과 그 영향

The Rising of Local Parties and the Activation of Local Politics in Japan; The rising cause and influence of the new local parties

일본연구논총 | 35 | 2012 | 지역학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기초의원 및 지방의회 관련 공무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Party Nomination System for Local Councilor Candidates - Based on the Cognitive Analysis of both Local Councilors and Local Assembly's Officials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3 | 2010 | 정치외교학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기초의원 및 지방의회 관련 공무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Party Nomination System for Local Councilor Candidates - Based on the Cognitive Analysis of both Local Councilors and Local Assembly's Officials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3 | 2010 | 정치외교학

6.2 지방선거의 현직효과: 경기도와 경상남도 도지사선거의 비교 분석

Incumbency Advantage In The Nationwide Local Election 2010: Focused on the Governor Elections in Gyeonggi-do and Gyeongsangnam-do

지방정부연구 | 14 | 3 | 2010 | 행정학

6.2 지방선거의 현직효과: 경기도와 경상남도 도지사선거의 비교 분석

Incumbency Advantage In The Nationwide Local Election 2010: Focused on the Governor Elections in Gyeonggi-do and Gyeongsangnam-do

지방정부연구 | 14 | 3 | 2010 | 행정학

6.2 지방선거의 의미와 쟁점:정당 공천을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and Issues of the 2010 Local Elect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arty Nominations

의정논총 | 6 | 1 | 2011 | 정치행정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 문제의 개선방안

Problems and Remedies of Party Nomination in Local Elections

대한정치학회보 | 18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 문제의 개선방안

Problems and Remedies of Party Nomination in Local Elections

대한정치학회보 | 18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지방정치인과 후원회 제도 : 필요성과 제도적 개선방안

Local Politicians and the Supporter's Association : the necessity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의정논총 | 5 | 1 | 2010 | 정치행정

지방정치인과 후원회 제도 : 필요성과 제도적 개선방안

Local Politicians and the Supporter's Association : the necessity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의정논총 | 5 | 1 | 2010 | 정치행정

기초의회 중선구제의 효과분석

An Analysis of Effects of the Single non-transferable Ballot System of the Lower -tier Local Council Election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3 | 2010 | 정치외교학

기초의회 중선구제의 효과분석

An Analysis of Effects of the Single non-transferable Ballot System of the Lower -tier Local Council Election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3 | 2010 | 정치외교학

1950년대 지방선거결과에 나타난 한국유교사상의 영향 -미군정기부터 5·16혁명까지의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1950年代の地方選擧の結果に見られる 韓國儒敎思想の影響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1950년대 지방선거결과에 나타난 한국유교사상의 영향 -미군정기부터 5·16혁명까지의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1950年代の地方選擧の結果に見られる 韓國儒敎思想の影響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매니페스토 지방선거와 거버넌스: 지속가능한 창조도시 발전을 위한 정책목표와 전략적 수단

Manifesto Local Election and Governance: policy objectives and strategic means for a sustainable creative-city development

국제정치연구 | 13 | 1 | 2010 | 사회과학

매니페스토 지방선거와 거버넌스: 지속가능한 창조도시 발전을 위한 정책목표와 전략적 수단

Manifesto Local Election and Governance: policy objectives and strategic means for a sustainable creative-city development

국제정치연구 | 13 | 1 | 2010 | 사회과학

2010년 충북 지방선거 후보자들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지도

Electorates’ Awareness of the Candidates in the 2010 Local Election: Focused on the Chungbuk Provinc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3 | 2010 | 기타지리학

2010년 충북 지방선거 후보자들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지도

Electorates’ Awareness of the Candidates in the 2010 Local Election: Focused on the Chungbuk Provinc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3 | 2010 | 기타지리학

지방선거제도에 대한 충북 유권자의 인식

Electorates’ Awareness of the Local Election System: Focused on the Chungbuk Provinc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2 | 2011 | 기타지리학

20대층의 투표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요인 분석 -6.2지방 선거를 중심으로

A Analysis over Social Issues influenced on Young 20`s Voters in 6.2 Korea Local Election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9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20대층의 투표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요인 분석 -6.2지방 선거를 중심으로

A Analysis over Social Issues influenced on Young 20`s Voters in 6.2 Korea Local Election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 19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한국 지방선거에서의 공정선거 확보방안

Fairness of Local Election in Korea: Suggestions for Legislation

유럽헌법연구 | 7 | 2010 | 헌법

한국 지방선거에서의 공정선거 확보방안

Fairness of Local Election in Korea: Suggestions for Legislation

유럽헌법연구 | | 7 | 2010 | 헌법

2010 지방선거에서 미디어 이용과 TV토론관심시청이 정치효능감, 투표행위에 미치는 효과연구

The Effect of Media use, TV Debate Watching on Political Efficacy and Voting Behavior in 2010 Local Elections

한국언론학보 | 55 | 6 | 2011 | 신문방송학

매니페스토와 선거 결과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2006년 지방선거에서의 매니페스토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ifesto Movement and the Korean Local Election in 2006: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Manifesto Estimation Indices

한국정책학회보 | 19 | 3 | 2010 | 정책학

매니페스토와 선거 결과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2006년 지방선거에서의 매니페스토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ifesto Movement and the Korean Local Election in 2006: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Manifesto Estimation Indices

한국정책학회보 | 19 | 3 | 2010 | 정책학

선거경쟁과 지방정치 : 대구와 오사카의 지방정치 비교

Electoral Competition and Local Politics : Comparison of Local Politics of Daegu with Osaka

지방정부연구 | 16 | 2 | 2012 | 행정학

지방정부의 연결망 구조 분석 : 2010년 6․2 지방선거 당선자들을 중심으로

Social Network Analysis for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 : focused on the winners in the local government election June 2, 2010

지방정부연구 | 16 | 1 | 2012 | 행정학

2010년 지방선거의 투표율 분석과 정책적 함의

The Study on Voting Analysis of the Local Election in 2010

정책개발연구 | 11 | 1 | 2011 | 기타정책학

지방선거의 정당공천제와 중앙정치의 영향: 2010년 지방선거의 특징과 변화

The Influence of the Party Nomination and the National Politics on the 2010 Local Election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2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선거의 정당공천제와 중앙정치의 영향: 2010년 지방선거의 특징과 변화

The Influence of the Party Nomination and the National Politics on the 2010 Local Election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2 | 2010 | 정치외교학

2010 지방선거에서의 분할투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Split-ticket Voting in the 2010 South Korean Local Elections: Analyzing Seoul Voters

한국과 국제정치 | 26 | 4 | 2010 | 정치외교학

2010 지방선거에서의 분할투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Split-ticket Voting in the 2010 South Korean Local Elections: Analyzing Seoul Voters

한국과 국제정치 | 26 | 4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선거에 의한 지방정부 평가: 대표성, 자율성, 책임성 - 강원도 동시지방선거의 결과를 중심으로

An Evalu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overnment Organized by the Local Elections: Representation, Autonomy, Accountability - focusing on the Local Elections in Kangwon Province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4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선거에 의한 지방정부 평가: 대표성, 자율성, 책임성 - 강원도 동시지방선거의 결과를 중심으로

An Evalu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overnment Organized by the Local Elections: Representation, Autonomy, Accountability - focusing on the Local Elections in Kangwon Province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4 | 2010 | 정치외교학

기초단체 지방선거 투표율의 결정요인 분석: 2010년 지방선거의 변화와 특징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3 | 1 | 2011 | 정치외교학

제5회 전국동시 지방선거에서 정당과 시‧도지사 당선자의 교육공약 분석

An Analysis of Parties and Local Government Heads' Educational Campaign Pledge in 5th Local Election

교육행정학연구 | 29 | 1 | 2011 | 교육학

선거제도 및 관리가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 : 제 5회 지방선거를 대상으로

Influences of Electoral System and Administration on Electoral Results : In a case of the 5th Korean Local Election

Oughtopia (오토피아) | 25 | 3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선거제도 및 관리가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 : 제 5회 지방선거를 대상으로

Influences of Electoral System and Administration on Electoral Results : In a case of the 5th Korean Local Election

Oughtopia (오토피아) | 25 | 3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제5회 영남지역 지방선거 결과 분석 : 지역패권정당체계의 지속과 변화

Analyzing the 5th Local Election Results in Young-nam Province: Change and Continuity of Hegemonic Party System

의정논총 | 5 | 2 | 2010 | 정치행정

제5회 영남지역 지방선거 결과 분석 : 지역패권정당체계의 지속과 변화

Analyzing the 5th Local Election Results in Young-nam Province: Change and Continuity of Hegemonic Party System

의정논총 | 5 | 2 | 2010 | 정치행정

선거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규범성과 현실 정치의 한계: 2010년 6․2 지방선거 자치단체장 후보자 캠프의 인터넷 미디어 전략 관련 심층인터뷰 연구

The Theoretical Norms of Election Campaign Communication and the Limit of Realistic Politics: A Study by In-depth Interview with Candidate Camps about Internet Media Strategies in 2010 Election for Heads of Local Government

사회과학연구 | 22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2010년 지방선거에 있어 당내 후보경선의 실태와 문제점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Party's Candidate Election in 2010's Local Election

한국지방자치연구 | 13 | 1 | 2011 | 기타행정학

지방선거의 유권자 투표 선택, 정당인가 후보인가? : 6.2 지방선거와 서울시의 사례

Voter's Choice in Local Election, Party or Candidate?:Cases of 6.2 Local Election and the Seoul Mayoral Election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5 | 4 | 2011 | 정책학

일반시민 인식분석을 통한 교육감 선출제도 개선방안 탐색

Exploring the Superintendent Election System by Analysing the Perceptions Of the Election Stake-holders

도시행정학보 | 25 | 3 | 2012 | 행정학

지방선거가 지방재정 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방재정분석 건전성과 효율성 지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Local Elections on Local Finance Expenditures: Focused on Soundness and Efficiency Indexes of Local Financial Analysis

국정관리연구 | 7 | 1 | 2012 | 기타행정학

유권자의 투표행태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2002년·2006년·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A Study on Vote Behavior and Determinants of the Voters :Focused on the Local Elections(2002·2006·2010)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5 | 3 | 2011 | 정책학

6・2지방선거 분석과 함의 그리고 정책과제:5・31지방선거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policy challenges and analysis of 31 May and 2 June elections.

한국정책연구 | 12 | 1 | 2012 | 기타행정학

지방 선거에서의 유권자의 특성: 총선 및 대선과의 비교 분석

Korean Electorates in the Local Elections: A Comparative Analysis to the National-Level Elections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4 | 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부패와 개선방안: 자치단체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Local Electoral Party Nomination Corruption Improvement Plan: A Focus on the Perception of Head of Local Government

한국부패학회보 | 15 | 1 | 2010 | 행정학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부패와 개선방안: 자치단체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Local Electoral Party Nomination Corruption Improvement Plan: A Focus on the Perception of Head of Local Government

한국부패학회보 | 15 | 1 | 2010 | 행정학

선거비용 및 정치자금제도의 적용과 형평성 평가: 제5회 전국 지방선거

Evaluation on Regulations and Institutions of Election Expenses and Political Fund: The 5th Local Election in Korea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1 | 2011 | 정치외교학

1920~1930년대 동래의 지방선거와 조선인 당선자들

The Local Elections and the Korean Elected in Donrae during the 1920s~1930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한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0 | 역사학

1920~1930년대 동래의 지방선거와 조선인 당선자들

The Local Elections and the Korean Elected in Donrae during the 1920s~1930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한국근현대사연구 | | 52 | 2010 | 역사학

기초지방선거에서 정당공천제의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of Party Nomination in Local Government Elections

한국지방자치연구 | 14 | 2 | 2012 | 기타행정학

중앙정치 갈등의 표출로서의 지방선거 : 지역, 이념, 정당갈등을 중심으로

Local Election as an extention of National Conflicts : Focused on Regional, Ideological, and Partisan Conflicts

평화학연구 | 12 | 4 | 2011 | 정치외교학

대학생 유권자의 텔레비전 선거뉴스 시청 동기와 투표정보효과 및 투표참여효과에 관한 연구 : 2010년 제5회 전국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s and Effects of Election News Coverage by College Students Audience : Focusing on the 5th National Regional Election of the year of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21 | 2011 | 정치커뮤니케이션

지방자치단체장 당선자 연구모형 수립에 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장 당선자의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Building up the Research Model of the Elected in Local Election for Chief Executive Officers -Based on the Elected's Personal Traits in Local Government-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2 | 2011 | 행정학

지방선거와 정당공천 : 비교론적 시각에서 - 기초의원 선거의 정당공천과 정보제공 효과 -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tisan and Nonpartisan Local Elections in Korea

지방행정연구 | 24 | 1 | 2010 | 행정학

지방선거와 정당공천 : 비교론적 시각에서 - 기초의원 선거의 정당공천과 정보제공 효과 -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tisan and Nonpartisan Local Elections in Korea

지방행정연구 | 24 | 1 | 2010 | 행정학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 찬반 논리와 대안 평가

An Evaluation of Debates about Party Nomination in Local Election

한국지방자치연구 | 12 | 4 | 2011 | 기타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