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기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7

한자 : 開港期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x02-01 시대 시대

개화기 [ 開化期 ]

1910년 조선 植民地化의 내적 원인

Internal Causes of the Colonization of Korea in 1910

조선시대사학보 | 55 | 2010 | 역사학

1910년 조선 植民地化의 내적 원인

Internal Causes of the Colonization of Korea in 1910

조선시대사학보 | | 55 | 2010 | 역사학

在釜日本人社會에서의 ‘神社化’와 그 의미 -대마도민의 사당(祠)에서 일본인의 神社로의 변화, 참여 주체 및 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Shinto-shrinization and meaning of Japanese-society in Busan

일어일문학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한국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사회과학’ 도입의 조건

Modern Transformation of Korea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ciences

이화사학연구 | 44 | 2012 | 기타역사일반

서양인이 바라본 한국의 신분제와 사회현상들

Westerners' Observation on Korean society after opening port

역사문화연구 | 37 | 2010 | 역사학

서양인이 바라본 한국의 신분제와 사회현상들

Westerners' Observation on Korean society after opening port

역사문화연구 | | 37 | 2010 | 역사학

개항기 건축 번사창의 지붕가구 분석을 통한 한옥적 특성

A study on the feature of Beon-Sa-Chang that was built in the Open-port period as a Korean-style house through the analysis on the roof structure

서울학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