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 무가

연구분야 : A1102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구비문학(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922

STNet ID : 1002702

한자 : 敍事巫歌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풀이 [ 本--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구비 서사시 () [ 口碑敍事詩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무속 신화 [ 巫俗神話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무당 [ 巫堂 ]

교과서 수록본 「오늘이」의 비판적 검토 - 「원텬강본푸리」와 어린이용 판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Critical review of O-Neul-e in the textbook - Centering around comparison of Wontyeongangbonfuri version with the text for children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6 | 1 | 2012 | 국어교육

<삼공본풀이>를 활용한 이어쓰기 활동의 문학치료적 의의 연구

A Study on the Literary Therapeutic Meaning of Subsequent Writing using Samgong Bonpuri

겨레어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사무가 <초공본풀이>의 짜임새와 미적 성취

On the Multi-Layered Composition ofthe Chogong Bonpoori

구비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사무가 <초공본풀이>의 짜임새와 미적 성취

On the Multi-Layered Composition ofthe Chogong Bonpoori

구비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hasabonpuriby Comparison with Other Similar Sources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hasabonpuriby Comparison with Other Similar Sources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사무가에 드러난 시련의 양상과 의미

The Patterns and Meanings of Hardships Observed in Narrative Shaman Songs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서사무가 채록의 문제점과 번역의 가능성 -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

The Problem of Recording Shamanistic Epics and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 With Focus on the ‘Princess Bari' Epic -

한국문화 | 56 | 2011 | 기타인문학

서사무가와 판소리의 상관성 - 전북지역 서사무가를 중심으로

Correlation between Seosa Muga and Pansori -With focus on Seosa Muga prevalent in Cholabuk-do area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