跨国主义时代徘徊在“色”、“戒”疆界上的 女性主体 ―谍战影片《生死谍变》与《色/戒》中的 女性间谍形象比较
트랜스내셔널리즘시대 ‘색(色)’과 ‘계(戒)’ 그 경계선상에 선 여성주체 ‐<쉬리>와<색/계>에 나타난 여성스파이형상 비교‐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跨国主义时代徘徊在“色”、“戒”疆界上的 女性主体 ―谍战影片《生死谍变》与《色/戒》中的 女性间谍形象比较
트랜스내셔널리즘시대 ‘색(色)’과 ‘계(戒)’ 그 경계선상에 선 여성주체 ‐<쉬리>와<색/계>에 나타난 여성스파이형상 비교‐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김훈 소설에 나타난 몸담론 -「화장」을 중심으로
Body discourse in Kim Hoon's short story - focusing on 「 Hwaja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훈 소설에 나타난 몸담론 -「화장」을 중심으로
Body discourse in Kim Hoon's short story - focusing on 「 Hwaja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리스 베자르(Maurice Béjart)의「볼레로(Bolero)」에서 표현된 성정체성 연구 - 남성의 몸 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xual Identity Expressed in the「 Bolero」 of Maurice Béjart - Focusing on Body Discourse of Male -
무용예술학연구 |
29 |
29 |
2010 |
무용
모리스 베자르(Maurice Béjart)의「볼레로(Bolero)」에서 표현된 성정체성 연구 - 남성의 몸 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xual Identity Expressed in the「 Bolero」 of Maurice Béjart - Focusing on Body Discourse of Male -
무용예술학연구 |
29 |
29 |
2010 |
무용
강경애의 『인간문제』 연구 —병과 음식의 메타포를 통한 몸 읽기
Body and the Metaphor of Illness and Food : Reading Kang, Kyung Ae's 『Ingan Munje(of Human Issues)』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강경애의 『인간문제』 연구 —병과 음식의 메타포를 통한 몸 읽기
Body and the Metaphor of Illness and Food : Reading Kang, Kyung Ae's 『Ingan Munje(of Human Issues)』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후시에 나타난 몸에 대한 표상과 그 의미 -『韓國戰後問題詩集』을 중심으로-
The symbol and meaning on the body revealed in The postwar Korea Poetry -focused on 『The postwar Korea issue poem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후시에 나타난 몸에 대한 표상과 그 의미 -『韓國戰後問題詩集』을 중심으로-
The symbol and meaning on the body revealed in The postwar Korea Poetry -focused on 『The postwar Korea issue poem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기 마랭(Maguy Marin)의 「그로스랜드(Groosland)」에 나타난 권력적 시선(gaze)에 관한 연구
The Meanings of Gaze and Power in Maguy Marin's Groosland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8 |
68 |
2011 |
무용
근대소설의 몸표현 형식들
The Forms of Body-Expressing in Modern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의 몸표현 형식들
The Forms of Body-Expressing in Modern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깨비 설화에 나타난‘몸’의 의미 - 주체와 타자의 새로운 관계를 위하여
‘Body’ in Tokkaebi Folk-tale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깨비 설화에 나타난‘몸’의 의미 - 주체와 타자의 새로운 관계를 위하여
‘Body’ in Tokkaebi Folk-tale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중기 한시에 나타나는 몸의 두 가지 양상 ―남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two aspects of body showed in chinese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works of Nam Myeong(南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중기 한시에 나타나는 몸의 두 가지 양상 ―남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two aspects of body showed in chinese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works of Nam Myeong(南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