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국어

연구분야 : A110108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사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15

STNet ID : 1002717

한자 : 近代國語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표준사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시대구분

e03-02 각국어 각국어

한국어 () [ 韓國語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전기 근대 국어 () [ 前期近代國語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근대어 [ 近代語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현대 국어 () [ 現代國語 ]

‘앞’, ‘뒤’ 연구(1) -의미와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front’, ‘back’[1] -Around the meaning and change -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분류 어휘집의 ‘사람(人)’ 관련 표제항 연구

A Study on the Head-words in the Categories on Human-beings of Classificatory Glossaries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분류 어휘집의 ‘사람(人)’ 관련 표제항 연구

A Study on the Head-words in the Categories on Human-beings of Classificatory Glossaries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명령형 종결어미의 역사적 변화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Imperative Final-endings

국어사연구 | 14 | 2012 | 국어사

名詞形 語尾 ‘-기’의 分布 變遷에 대한 考察 -近代國語 時期의 擴大 原因을 중심으로-

The Distributional Transition of the Nominal Ending '-ki'

인문과학연구 | 33 | 2012 | 기타인문학

필사본 『두역신방』의 국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d Philological Analysis of Duyeoksinbang

언어과학연구 | 55 | 2010 | 언어학

필사본 『두역신방』의 국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d Philological Analysis of Duyeoksinbang

언어과학연구 | | 55 | 2010 | 언어학

『인어대방(隣語大方)』의 국어학적 고찰 -「츠쿠바대본」과 「조선간본」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by South korea linguistics of 「Ringotaihou(隣語大方)」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인어대방(隣語大方)』의 국어학적 고찰 -「츠쿠바대본」과 「조선간본」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by South korea linguistics of 「Ringotaihou(隣語大方)」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근대국어의 특이처격어의 변천 양상과 특성

A study on Peculiar Locative Noun in Modern Korean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국어 중철표기의 유형 검토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Jungcheol’ Writing in Pre-modern Korean

우리말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국어 의도 관계 연결어미 연구

A Study of the Intentional Connective Endings in Modern Korean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