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행 가사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유형/양식/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23

STNet ID : 9002120

한자 : 使行歌辭

E01 유형/양식/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세계기행 가사 () [ 世界紀行歌辭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사행기 () [ 使行記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일동장유가 () [ 日東壯遊歌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연행가 [ 燕行歌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서행록 [ 西行錄 ]

<셔유견문록>에 나타난 西洋, 그 열망의 공간

West appeared in the <Seoyukyonmunrok>, The Space of the Aspirations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셔유견문록>에 나타난 西洋, 그 열망의 공간

West appeared in the <Seoyukyonmunrok>, The Space of the Aspirations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대일 기행가사와 東京 표상의 변모 — <유일록>, <동유감흥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iHaengGaSa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Transition in the Representation of Tokyo (東京): focusing on Yu Il Lok and Dong Yu Gam Hung Lok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

사행가사에 형상화된 타국의 수도(首都) 풍경과 지향성의 변모

The representation of foreign capitals and the changing aspiration mirrored in the Ga-sa of Envoys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말 조선 외교관의 근대 일본의 도시체험과 그 서술의 특징 -<유일록>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experience and the narrative style of modern Japan which written by Chosun diplomat in the late 19th century-On the Focus of -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창작 과정과 언어적 실천의 문제

The Verbal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Lyrics of the Creative Process of Sahang-Gasa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창작 과정과 언어적 실천의 문제

The Verbal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Lyrics of the Creative Process of Sahang-Gasa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