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담

연구분야 : A1102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구비문학(국문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184

STNet ID : 9001880

한자 : 才談
영어 : witticism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언어변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재담소리 [ 才談--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재담극 [ 才談劇 ]

근대전환기 패설의 변환과 지향

The Change and the Pursuit of Paeseol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to modern times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남사당 덧뵈기 재담의 변화 양상

The Aspects of Changes in Witty Remarks from Namsadang Deotboegi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근대 재담집 『소천소지(笑天笑地)』 연구 ― 등장인물의 관계 양상과 그 특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ocheonsoji(笑天笑地)』 a modern collections of Witticisms - Based on the aspect of relationship shared between the characters -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초기 재담과 로컬리티의 문제

The Locality and the Jokes of Early 20th Century Korea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팔도유람을 소재로 한 재담 레퍼토리의전통과 변용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