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傳)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197

STNet ID : 1002744

한자 : 傳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사마천 (BC145e-BC86e) [ 司馬遷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계 소설 () [ 傳系小說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사기 열전

<석중옥기연록> 연구

A Study on the Sukjungokgiyeonrok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석중옥기연록> 연구

A Study on the Sukjungokgiyeonrok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인격과 스캔들-임종국의 역사서술과 민족주의

Personality and Scandal - Im Jongkuk' hisorical description and nationalism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전환기 역사․전기 단형서사의 언론 매체별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hort Narratives in the Newspapers and Journal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in Korea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萬德傳>에 나타난 여성성의 의미 탐색

A study on the meaning of femininity shown in

인문학연구 | 38 | 3 | 2011 | 기타인문학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본 <茶母傳>의 창작배경과 작가의식

The background of and writer's consciousness appeared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본 <茶母傳>의 창작배경과 작가의식

The background of and writer's consciousness appeared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전기와 논설 문체 형성 과정과 자기 형상의 글쓰기

A Study on Figuration of Self-Identity way of Using the Classical Style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전(傳)과 소설의 관련 양상 ― 이문구 소설을 중심으로

Relation aspects between ‘Jeon(傳)’ and ‘Novel’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傳)과 소설의 관련 양상 ― 이문구 소설을 중심으로

Relation aspects between ‘Jeon(傳)’ and ‘Novel’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 글쓰기에 나타난 자아정체성의 교육적 가치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Medieval Writings on the I

작문연구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 글쓰기에 나타난 자아정체성의 교육적 가치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Medieval Writings on the I

작문연구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귀환자’의 시선으로 본 전쟁표상 — 아베 고보의 ‘변형의 기록’을 중심으로 —

‘引揚者’のまなざしから見た戦争表象 ― 安部公房の「変形の記録」を中心に ―

日本學硏究 | 31 | 2010 | 일본어와문학

‘귀환자’의 시선으로 본 전쟁표상 — 아베 고보의 ‘변형의 기록’을 중심으로 —

‘引揚者’のまなざしから見た戦争表象 ― 安部公房の「変形の記録」を中心に ―

日本學硏究 | 31 | | 2010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