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국어

연구분야 : A110108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사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321

STNet ID : 1002759

한자 : 中世國語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표준사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시대구분

e03-02 각국어 각국어

한국어 () [ 韓國語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전기 중세 국어 () [ 前期中世國語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현대 한국어 [ 現代韓國語 ]

hasIssue (이슈/주제)

 

x02-01 시대 시대

중세 () [ 中世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중세 국어 표기법 [ 中世國語表記法 ]

RT_Y (◄관련어)

관련 언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ㅎ종성 체언 [ --終聲 體言 ]

중고한음 상성 및 거성과 창원 방언에서의 그 반영

On the Reflection of Rising and Departing Tones of Medieval Chinese in Changwon Dialect, A Gyeongnam Province Dialect of Korea

한글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고한음 상성 및 거성과 창원 방언에서의 그 반영

On the Reflection of Rising and Departing Tones of Medieval Chinese in Changwon Dialect, A Gyeongnam Province Dialect of Korea

한글 |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창원 방언 성조 체계에서 중고한음 평성의 반영

On the Reflection of the Even Tone of Medieval Chinese in Changwon Dialect, a Gyeongnam Province Dialect of Korea

한글 | 293 | 2011 | 한국어와문학

‘앞’, ‘뒤’ 연구(1) -의미와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front’, ‘back’[1] -Around the meaning and change -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명령형 종결어미의 역사적 변화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Imperative Final-endings

국어사연구 | 14 | 2012 | 국어사

최적성이론에 의한 ‘ㅇ’의 통시적 변화 연구

A study of ‘ㅇ’s diachronic change in Optimality Theory

언어연구 | 25 | 4 | 2010 | 언어학

최적성이론에 의한 ‘ㅇ’의 통시적 변화 연구

A study of ‘ㅇ’s diachronic change in Optimality Theory

언어연구 | 25 | 4 | 2010 | 언어학

중세국어 조사 '-다려', '-더브러', '-애/ㅅ손대'의 문법

Grammatical property of Locative Case Marker ‘-려’, ‘-더브러’, ‘-/ㅅ손’ in Middle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국어 조사 '-다려', '-더브러', '-애/ㅅ손대'의 문법

Grammatical property of Locative Case Marker ‘-려’, ‘-더브러’, ‘-/ㅅ손’ in Middle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內訓』의 稀貴語에 대하여

A Study on the Rare Words of the ‘Naehu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內訓』의 稀貴語에 대하여

A Study on the Rare Words of the ‘Naehu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와 그 음운론적 해석 - 향가를 토대로 중세국어와 연계하여 -

The Nominative case-form in Ancient Korean and its phonological interpretation - In connection with Middle Korean based on Hyang-Ga -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중세국어 모음체계의 대립 위계와 그 변화

Contrastive Hierarchy and Its Change in the Middle Korean Vowel System

언어학 | 56 | 2010 | 언어학

중세국어 모음체계의 대립 위계와 그 변화

Contrastive Hierarchy and Its Change in the Middle Korean Vowel System

언어학 | | 56 | 2010 | 언어학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와 그 음운론적 해석 - 향가를 토대로 중세국어와 연계하여 -

The Nominative case-form in Ancient Korean and its phonological interpretation - In connection with Middle Korean based on Hyang-Ga -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中世國語 連結語尾 形成의 文法史 -‘-오ᄃᆡ, -은ᄃᆡ, -은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achronic Formation of Middle Korean Conjunctive Endi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中世國語 連結語尾 形成의 文法史 -‘-오ᄃᆡ, -은ᄃᆡ, -은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achronic Formation of Middle Korean Conjunctive Endi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국어의 특이처격어의 변천 양상과 특성

A study on Peculiar Locative Noun in Modern Korean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처격 ‘애’, ‘에’의 생성 원인 고찰 - 고대 및 중세국어의 ‘’, ‘의’의 실현 양상을 토대로 -

The study on the cause of the formation of the locative cases ‘애(aj)’ and ‘에(əj)’ - Based on the realized aspects of ‘(ʌj)’ and ‘의(ɨj)’ in Ancient and Middle Korean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처격 ‘애’, ‘에’의 생성 원인 고찰 - 고대 및 중세국어의 ‘’, ‘의’의 실현 양상을 토대로 -

The study on the cause of the formation of the locative cases ‘애(aj)’ and ‘에(əj)’ - Based on the realized aspects of ‘(ʌj)’ and ‘의(ɨj)’ in Ancient and Middle Korean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제주 방언 단음절 명사의 음성학적 액센트 유형과 중세 국어 성조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ntual patterns of current Jeju dialect of Korean and tone patterns of Middle Korean monosyllabic nouns

영주어문 | 22 | 2011 | 기타국문학

중세국어 속격조사의 예외적 쓰임

An Exceptional Use of the Genitive Case-markers in the Later Middle Korean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국어 속격조사의 예외적 쓰임

An Exceptional Use of the Genitive Case-markers in the Later Middle Korean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於’의 훈 ‘늘’과 중세어 ‘늘다’의 의미 해석과 상관성

Interpreting sense of ‘neul(늘)’, Hun(訓) of ‘Eo(於)’ and ‘neul(늘-)’ of Middle Korean and their relationship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於’의 훈 ‘늘’과 중세어 ‘늘다’의 의미 해석과 상관성

Interpreting sense of ‘neul(늘)’, Hun(訓) of ‘Eo(於)’ and ‘neul(늘-)’ of Middle Korean and their relationship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중세국어 조사 '-다려', '-더브러', '-애/ㅅ손대'의 문법

Grammatical property of Locative Case Marker ‘-려’, ‘-더브러’, ‘-/ㅅ손’ in Middle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국어 조사 '-다려', '-더브러', '-애/ㅅ손대'의 문법

Grammatical property of Locative Case Marker ‘-려’, ‘-더브러’, ‘-/ㅅ손’ in Middle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주 방언 단음절 명사의 음성학적 액센트 유형과 중세 국어 성조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ntual patterns of current Jeju dialect of Korean and tone patterns of Middle Korean monosyllabic nouns

영주어문 | 22 | 2011 | 기타국문학

致和平譜에 반영된 중세어 성조에 대하여

On Middle Korean tones reflected in the musical score of Chihwapyeng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致和平譜에 반영된 중세어 성조에 대하여

On Middle Korean tones reflected in the musical score of Chihwapyeng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국어 텍스트의 분석 방법과 실제

Ways of Textlinguistic Approach on Middle Korean Text and the Practice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중세국어 텍스트의 분석 방법과 실제

Ways of Textlinguistic Approach on Middle Korean Text and the Practice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於’의 훈 ‘늘’과 중세어 ‘늘다’의 의미 해석과 상관성

Interpreting sense of ‘neul(늘)’, Hun(訓) of ‘Eo(於)’ and ‘neul(늘-)’ of Middle Korean and their relationship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於’의 훈 ‘늘’과 중세어 ‘늘다’의 의미 해석과 상관성

Interpreting sense of ‘neul(늘)’, Hun(訓) of ‘Eo(於)’ and ‘neul(늘-)’ of Middle Korean and their relationship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On the alternation of the modesty suffix in Middle Korean

음성음운형태론연구 | 16 | 1 | 2010 | 언어학

On the alternation of the modesty suffix in Middle Korean

음성음운형태론연구 | 16 | 1 | 2010 | 언어학

중세국어 조사 '-다려', '-더브러', '-애/ㅅ손대'의 문법

Grammatical property of Locative Case Marker ‘-려’, ‘-더브러’, ‘-/ㅅ손’ in Middle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국어 조사 '-다려', '-더브러', '-애/ㅅ손대'의 문법

Grammatical property of Locative Case Marker ‘-려’, ‘-더브러’, ‘-/ㅅ손’ in Middle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