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석보

연구분야 : A1101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A081200 인문학 > 불교학 > 불교문헌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366

한자 : 月印釋譜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보물 (寶物)

유형/장르

책(冊) (冊)

지정호수_t

보물 제745호

지정일자_t

1983. 5. 7.

주소_t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35 (신수동 1-1) 서강대학교 도서관 외

제작(설립)년도_t

1459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훈민정음언해 () [ 訓民正音諺解 ]

R1:개념적

hasTributary (합류/통합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석보 상절 [ 釋譜詳節 ]

hasTributary (합류/통합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월인천강지곡 (1449) [ 月印千江之曲 ]

불교전래 과정의 서사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삼국유사≫ 설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terary sense and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 Focused on the tale of Samkookyoosa -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불경계 서사의 소설적 변용과 그 의미

A Study on the Aspect of Novel Writing and Acculturation in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月印釋譜』卷 十八과 『法華經諺解』卷 六, 卷 七의 飜譯에 대한 比較 硏究 -意譯과 直譯 樣相을 中心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Wolinseokbo Vol. 18 and Beophwagyeongeonhae Vol. 6 and Vol. 7 - Focusing on Aspects of Liberal Translation and Literal Translation-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月印釋譜』卷 十八과 『法華經諺解』卷 六, 卷 七의 飜譯에 대한 比較 硏究 -意譯과 直譯 樣相을 中心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Wolinseokbo Vol. 18 and Beophwagyeongeonhae Vol. 6 and Vol. 7 - Focusing on Aspects of Liberal Translation and Literal Translation-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월인석보』 권두 부속문자의 서지

A Philological Study on the Front Matters of Worinseokbo(月印釋譜)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월인석보』 권두 부속문자의 서지

A Philological Study on the Front Matters of Worinseokbo(月印釋譜)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