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 접미사

연구분야 : A1101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형태론(국어학)
A110104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통사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408

한자 : 派生接尾辭
영어 : a derivational suffix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접미사 () [ 接尾辭 ]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파생 접사 () [ 派生接辭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동사 파생 접미사 () [ 動詞派生接尾辭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형태적 접미사 [ 形態的接尾辭 ]

RT (관련어)

 

 

굴절 접미사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파생 부사 () [ 派生副詞 ]

RT (관련어)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파생 [ 派生 ]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문법적 특징 비교

A Comparison of Grammatical Differeces between the First-edition and the Revised-edition of Dusi-Eonhae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어휘교육을 위한 어휘군 구축 -[사람] 어휘를 대상으로-

A Study on Construction of Lexical Group for Korean Vocabulary Education - on the [persons] words -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어휘교육을 위한 어휘군 구축 -[사람] 어휘를 대상으로-

A Study on Construction of Lexical Group for Korean Vocabulary Education - on the [persons] words -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남 방언의 파생접미사 ‘-치-’와 ‘-씨-’의 기능

On the functions of suffix ‘-chi-’ and ‘-ssi-’ in Jeonnam dialect

방언학 | 15 | 2012 | 한국어와문학

파생접미사 ‘-하-’의 결합 양상 연구 -형용사 파생접미사 ‘-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hesion modality of an adjective derivational suffix '-ha-'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