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 시, 여성(성) —1960년대 참여시에 나타난 여성
Revolution, Poetry, and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혁명, 시, 여성(성) —1960년대 참여시에 나타난 여성
Revolution, Poetry, and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주도 무구(巫具) ‘삼멩두’를 통해 본 무조신과 심방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founder of shaman and simbang(shaman) through 'Sammengdu' the shaman's paraphernalia of Jeju island
민속학연구 |
29 |
2011 |
역사학
『이화전』의 무속요소 고찰
The observation of shamanism element in 『Ihwajeon』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려 處容歌의 巫歌的 성격에 대한 再考
The reconsideration about Goryeo's 'Cheoyongga' as a shamanistic song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 處容歌의 巫歌的 성격에 대한 再考
The reconsideration about Goryeo's 'Cheoyongga' as a shamanistic song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설에 반영된 민속신앙에 대한 고찰 ― 김용성의 소설 「홰나무 소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olk Beliefs Reflected in Kim Yong-Seong’s The Sound of Scholar-tree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잉카와 한국의 건국신화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birth myth of Inca and Korea
국제지역연구 |
14 |
1 |
2010 |
지역학
잉카와 한국의 건국신화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birth myth of Inca and Korea
국제지역연구 |
14 |
1 |
2010 |
지역학
아름다움의 서사를 활용한 기이함과 신성성의 기호학적 소통 구조 연구 - 『삼국유사』속 여성의 기술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the Semiotic communicative Structure of the Strangeness and the Sacred utilizing beauty Narratives — Focusing on the female description of —
기호학 연구 |
31 |
2012 |
언어학
라스코 동굴 벽화의 이미지 기호 그룹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pattern grouping for the image codes of the wall paintings of the Cave of Lascaux
서양고대사연구 |
27 |
2010 |
역사학
라스코 동굴 벽화의 이미지 기호 그룹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pattern grouping for the image codes of the wall paintings of the Cave of Lascaux
서양고대사연구 |
|
27 |
2010 |
역사학
『삼국유사』에 재현된 여성의 양성성에 대한 현대적 문화 담론 연구 ― <기이편>에 등장하는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the Modern Cultural Discourse of Female Androgyny in SamgukYusa ― Focusing on Females in the Strange Stories―
인간연구 |
20 |
2011 |
철학
최시형 ‘식(食)’ 사상의 종교생태학적 의의
Eco-religious Significance of Choi-Sihyeong’s Thoughts on Eating
신종교연구 |
26 |
26 |
2012 |
종교학
루이 16세의 도피 사건 이후 여론 변화
The Public Opinion after the King’s Flight
서양사론 |
109 |
2011 |
역사학
‘南白月二聖 努肹夫得 怛怛朴朴’조의 詩歌考
A Study on the Poetry of Article in《Samgukyusa》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