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화점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424

한자 : 雙花店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대악후보 () [ 大樂後譜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남여상열지사 [ 男女相悅之詞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려가요 () [ 高麗歌謠 ]

고려속요 <雙花店>에 수용된 다문화적 요소 考究

Multicultural Requisite Of Goryeosokyo

다문화콘텐츠연구 | 1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쌍화점> 관련 텍스트에 나타난 소문의 구성 양상과 기능

Aspects of Rumors in related texts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쌍화점> 관련 텍스트에 나타난 소문의 구성 양상과 기능

Aspects of Rumors in related texts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욕망의 구조로 읽은 <쌍화점>

On the Meaning Structure of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고려가요 <쌍화점>의 후대전승과 현대적 변용

The modern acculturation of the song of Goryeo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쌍화점 결구“덤거츠니”의 재해석

A Reinterpretation of “Deomkkeocheuni” in the Last Phrase of Ssanghwajeom

한국학 | 35 | 2 | 2012 | 기타인문학

<쌍화점>의 담론 특성과 그 문학사적 함의

A study on the Discourse of <雙花店> and its Literary Historical Implications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構造的 相關性으로 본 雙花店

Sang Hwa Jeom in View of Structural Correlation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構造的 相關性으로 본 雙花店

Sang Hwa Jeom in View of Structural Correlation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