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적인 시어의 사용과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 - 정지용 시 「瀑布」를 중심으로 -
Sensuous use of Poetic Words and Free Movement of Eyes - Focusing on Jeong Ji-yong's Poem 'Pokpo'(Waterfall)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W. B. 예이츠와 한국근대시의 자연: 정지용과 현대 시인들의 시
W. B. Yeats, Nature, and Modern Korean Poetry: Jeong Ji-yong and Some Later Poets
한국 예이츠 저널 |
36 |
2011 |
영어와문학
정지용의 「바다 2」 분석 -자연을 대상화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nalysis on Jeong Ji-yong's Poem, 「Sea 2」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바다 2」 분석 -자연을 대상화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nalysis on Jeong Ji-yong's Poem, 「Sea 2」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梅泉 黃玹의 山水詩 小考
A Study on Nature Poem of Maecheon Hwang Hyeon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梅泉 黃玹의 山水詩 小考
A Study on Nature Poem of Maecheon Hwang Hyeon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霽峰 高敬命詩 硏究
A study on Ko Gyoung-myoung poetry
한국시가문화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율곡시에 나타난 산수유람 체험의 형상화 방식과 지향
The Method and Pursuit to Embody Landscape Sightseeing Experience Revealed in Yul-gok’s Poetry / Yu-Jin, Son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
韓國八景詩의 전개에 있어서 金時習의 역할
The role of Kim si-seup(金時習) in Korean Palgeongsi(韓國八景詩)
열상고전연구 |
31 |
2010 |
기타국문학
韓國八景詩의 전개에 있어서 金時習의 역할
The role of Kim si-seup(金時習) in Korean Palgeongsi(韓國八景詩)
열상고전연구 |
|
31 |
2010 |
기타국문학
王維山水詩中的畫意探討
The pictorial Image of Wang-Wei’s Scenery poem
인문과학연구논총 |
31 |
2010 |
기타인문학
王維山水詩中的畫意探討
The pictorial Image of Wang-Wei’s Scenery poem
인문과학연구논총 |
|
31 |
2010 |
기타인문학
정지용 산수시에서 자연과 정신의 감각적 매개 양상 -'차다'라는 신체 감각을 중심으로
Sensual intermediation between Nature and Spirit in Jeong Jiyoung's 'Mountain-Water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산수시에서 자연과 정신의 감각적 매개 양상 -'차다'라는 신체 감각을 중심으로
Sensual intermediation between Nature and Spirit in Jeong Jiyoung's 'Mountain-Water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퇴계의 산수 음영과 자연미 인식의 양상
The Poetry of Hills and Streams recited by Toegye, and the Patterns to Recogniz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정지용의 산수시 이해와 주체 재구성의 문제 — 「長壽山ㆍ1」 , 「長壽山ㆍ2」를 중심으로—
Studies on Landscape Poetry of Jung Ji-Yong and Reconstruction of Subject
영주어문 |
22 |
2011 |
기타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