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전문직을 위한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e Measure for Helping Professions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35 |
2010 |
사회복지학일반
원조전문직을 위한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e Measure for Helping Professions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
35 |
2010 |
사회복지학일반
일선관료의 재량권 사용에 대한 연구: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의 재량행사 수축경향을 중심으로
How do Street level bureaucrats exercise their discretionary power?
한국조직학회보 |
8 |
3 |
2011 |
행정조직/관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선에 대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인식 연구
A study of social welfare officials' recognition about improving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사회복지연구 |
43 |
1 |
2012 |
사회복지학
조직풍토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lient-Oriented Tendency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Focused on Empowerment and Jab Satisfaction as Mediators-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3 |
3 |
2011 |
사회복지학
조직구조, 교육훈련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행정직공무원의 지식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 자기효능감과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raining on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of Public Social Workers and Public Officials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2 |
1 |
2010 |
사회복지학
조직구조, 교육훈련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행정직공무원의 지식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 자기효능감과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raining on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of Public Social Workers and Public Officials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2 |
1 |
2010 |
사회복지학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업무특성과 업무갈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 social workers' work experiences : Focusing on work characteristics and work conflicts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업무특성과 업무갈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 social workers' work experiences : Focusing on work characteristics and work conflicts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RI연구논총 |
14 |
1 |
2012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서비스질에 관한 실증연구 - 내부서비스질, 직무만족, 서비스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of Public Social Worker -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of Internal Service Quality,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38 |
2011 |
사회복지학일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사회복지교육성과와 직무성과와의 관계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Outcome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Job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orke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한국사회복지학 |
63 |
1 |
2011 |
사회복지학
인터넷 토론방 댓글에 나타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대중의 인식 -2008년에 발생한 복지지원금 횡령사건 이후를 중심으로-
Public Perceptions of Public Social Workers in Comments of the Internet Media Discussion Rooms after Welfare Embezzlement Cases in 2008
한국사회복지학 |
62 |
1 |
2010 |
사회복지학
인터넷 토론방 댓글에 나타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대중의 인식 -2008년에 발생한 복지지원금 횡령사건 이후를 중심으로-
Public Perceptions of Public Social Workers in Comments of the Internet Media Discussion Rooms after Welfare Embezzlement Cases in 2008
한국사회복지학 |
62 |
1 |
2010 |
사회복지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 인지부조화(role cognitive dissonance) 해소방안 연구 -원인과 그 처방-
Tackling the Role Cognitive Dissonance of Public Sector Welfare Professionals: Cause and its Prescription
대한정치학회보 |
2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