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체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677

한자 : 個體
영어 : individual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b01-05 신체운동/행동 신체운동/행동

생식 [ 生殖 ]

RT (관련어)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개인 식별 [ 個人識別 ]

도산 안창호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uman View of Do San Ahn Chang-Ho

민족사상 | 6 | 3 | 2012 | 한국정치사상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개체화 원리 문제를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Philosophical Link between Duns Scotus and Descartes: the point of view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철학사상 | 42 | 2011 | 철학

성 프란체스코 아씨시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인식 비교: 자연, 개체, 속어와 관련하여

A Study on St. Francis of Assisi's and Leonardo da Vinci's world views: focusing on the nature, individuality, and mother tongue

서양중세사연구 | 27 | 2011 | 역사학

민족역량과 민족공통성 - 스피노자 개체론을 중심으로-

National Power and National Commonality - in the center of Spinoza's theory of the individual

통일인문학 | 53 | 2012 | 기타인문학

‘들’-표지 명사구의 구조와 의미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Korean ‘deul'-marked noun phrases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들’-표지 명사구의 구조와 의미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Korean ‘deul'-marked noun phrases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중국어 부사 “都”의 의미기능에 대한 인지적 접근

중국언어연구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현대중국어 부사 “都”의 의미기능에 대한 인지적 접근

중국언어연구 |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구별불가능자 동일성의 원리 - 막스 블랙의 논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The Principle of Identity of Indiscernibles

철학논집 | 21 | 2010 | 철학

구별불가능자 동일성의 원리 - 막스 블랙의 논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The Principle of Identity of Indiscernibles

철학논집 | 21 | | 2010 | 철학

朴文逵의 集句詩集 天游集古 연구

A Study on Chenyou Cento Poetry written by Mun-Gyu Park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A Review of Object and Field Perspective on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개체(個體: object)와 장(場: field) 관점에서의 공간 단위 임의성 문제(MAUP)에 관한 재조명

한국지도학회지 | 11 | 1 | 2011 | 지도학

조선시대 한양의 수도성 - 도시의 위계와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s Capital City of Hanyang

역사학보 | 209 | 2011 | 역사학

1923년 개성상인의 중국유람기 『中遊日記』 연구

A Study on Diary of travelling China(中遊日記) written by a Merchant from Kaesung(開城) in 1923

국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명(名)과 실(實), 보편과 개체에 대한 동서철학의 논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Western and Chinese Philosophy about the Name and Substance, the Universal and Individual

범한철학 | 64 | 1 | 2012 | 철학

세속화: 신앙을 위한 역사적인 기회

Saekularisierung: Eine historische Chance fuer den Glaube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9 | 2011 | 원불교학

18세기 文學觀의 변화와 ‘개인’과 ‘개체’의 발견(1) - 程朱學的 이념의 해체와 ‘개인’ 중심 문학관의 출현 -

The change of a view of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 discovery of individuality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文學觀의 변화와 ‘개인’과 ‘개체’의 발견(1) - 程朱學的 이념의 해체와 ‘개인’ 중심 문학관의 출현 -

The change of a view of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 discovery of individuality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자 개인의 욕망과 자유 Ⅱ-개체 본성과 욕망 주체에 관한 연구-

莊子 個人的欲望和自由 Ⅱ-關於個體本性和欲望主體硏究-

인문과학 | 48 | 2011 | 기타인문학

하곡의 양명사상에서 나타난 개체의 정치사상적 의의

霞谷陽明思想中所表現的政治思想的意义

양명학 | 25 | 2010 | 철학

하곡의 양명사상에서 나타난 개체의 정치사상적 의의

霞谷陽明思想中所表現的政治思想的意义

양명학 | | 25 | 2010 | 철학

일본제국기 ‘開城’의 지역성과 (탈)식민의 문화기획

Locality in “Gaeseong (開城)” during the time of the Japanese Empire and Cultural Planning in De-colonization

동방학지 | 151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제국기 ‘開城’의 지역성과 (탈)식민의 문화기획

Locality in “Gaeseong (開城)” during the time of the Japanese Empire and Cultural Planning in De-colonization

동방학지 | | 151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제국기 ‘開城’의 지역성과 (탈)식민의 문화기획

Locality in “Gaeseong (開城)” during the time of the Japanese Empire and Cultural Planning in De-colonization

동방학지 | 151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제국기 ‘開城’의 지역성과 (탈)식민의 문화기획

Locality in “Gaeseong (開城)” during the time of the Japanese Empire and Cultural Planning in De-colonization

동방학지 | | 151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