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매

연구분야 : A080100 인문학 > 불교학 > 근본불교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801

한자 : 三昧
영어 : samadhi
범어(산스크리트) : समाधि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반주삼매 [ 般舟三昧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불교 () [ 佛敎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힌두교 [ --敎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가행 [ 加行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열반 [ 涅槃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발원 [ 發願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불교 수행

‘깃털 달린 인간’의 ‘변신’ 이야기 - ‘숨’의 생명미학을 통해서 본 디오니소스적 인간과 소크라테스적 인간

Metamorphose des ‘beflügelten’ Menschen - Nietzsche und Asiatische Lebensästhetik der ‘Atmung’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고승전의 선정 및 삼매에 대한 분석적 고찰

Analysis of Seon and Samadhi in Gao-Seng-Chuan

보조사상 | 34 | 2010 | 종교학

고승전의 선정 및 삼매에 대한 분석적 고찰

Analysis of Seon and Samadhi in Gao-Seng-Chuan

보조사상 | 34 | | 2010 | 종교학

頓悟漸修의 요가 철학적 성격

The Yoga Philosophic Characteristic of 'Sudden Enlightenment with Gradual Cultivation'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삼위일체 하느님과 삼신불의 비교 ─계시와 삼매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Holy Trinity and Trikāya ─from the perspectives of Revealation and Samadhi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삼위일체 하느님과 삼신불의 비교 ─계시와 삼매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Holy Trinity and Trikāya ─from the perspectives of Revealation and Samadhi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요가명상을 통한 마음 치유 가능성: 『바가바드기따』 제 6장을 중심으로

A Possibility on Healing of Mind through Yoga of Meditation: focused on Chapter sixth in Bhagavasgītā

남아시아연구 | 17 | 2 | 2011 | 지역학

Pātañjala의 Yoga Sūtra에 나타난 Samādi의 고찰

The consideration of Samãdhi in appearing Yoga Sūtra by Pātañjala

종교연구 | 67 | 2012 | 종교학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연구 -반야공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onhyo’s Study on the Diamond Samādhi Sūtra Focused on the Prajñā-Paramitā Thought of Emptiness

민족사상 | 6 | 1 | 2012 | 한국정치사상

요가전통: 요가 수뜨라에 나타난 이론적 토대와 구조

Yoga Tradition: Theorical Foundation and Structure in Yoga Sūtra

남아시아연구 | 16 | 2 | 2010 | 지역학

요가전통: 요가 수뜨라에 나타난 이론적 토대와 구조

Yoga Tradition: Theorical Foundation and Structure in Yoga Sūtra

남아시아연구 | 16 | 2 | 2010 | 지역학

화엄의 삼매와 무애행의 연관성

The Correlation of Samādhi and Unobstructed Practice in the Huayan jing

불교연구 | 33 | 2010 | 불교학

화엄의 삼매와 무애행의 연관성

The Correlation of Samādhi and Unobstructed Practice in the Huayan jing

불교연구 | | 33 | 2010 | 불교학

사띠(sati)와 사마디(samādhi)의 중도적 구조에 대한 연구_초기불교와 현대심리학을 중심으로_

A Study on Middle-Path Structure in Sati and Samādhi

인도철학 | 35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