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온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889

한자 : 五蘊
영어 : five aggregates
범어(산스크리트) : panca khandha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오취온 [ 五取蘊 ]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제법무아 [ 諸法無我 ]

우빠니샤드와 초기불교에서 업과 윤회

The Doctrine of Karma and Saṃsāra in Upaniṣads and Early Buddhism

불교학연구 | 29 | 2011 | 불교학

초기불교에 있어서 삶과 죽음의 문제** 이 논문은 2012년 4월 23일~27일에 열렸던 제20차 <한․중 윤리학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발제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을 밝혀둔다. 논평을 맡아 의미 있는 비판과 함께 날카로운 지적을 해주신 중국 政法大의 王今一 교수와 부산대의 조남욱 교수, 그리고 진주보건대의 이상철 교수에게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윤리적 극복가능성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Suffering of Life and Death in the Early Buddhism -focused on its ethical overcoming possibility-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8 | 1 | 2012 | 응용불교학

緣起와 五蘊 명상 수행을 통해 주의력과 수용 공감 능력 항상 연구 - 40명 학생들과 명상 실습 사례 -

A Study of attention and acceptance, empathy with the Paccayas(conditions) and pañca Skandhas(heap) meditation - A Case Study of 40 Student Meditators -

대각사상 | 13 | 2010 | 불교학

緣起와 五蘊 명상 수행을 통해 주의력과 수용 공감 능력 항상 연구 - 40명 학생들과 명상 실습 사례 -

A Study of attention and acceptance, empathy with the Paccayas(conditions) and pañca Skandhas(heap) meditation - A Case Study of 40 Student Meditators -

대각사상 | | 13 | 2010 | 불교학

M138경의 anupādā paritassanā 해석 문제

The examination of Bhikkhu Bodi’ rendering about anupādā paritassanā in Uddesavibhaṅgasuttaṃ

한국불교학 | 62 | 2012 | 종교학

五蘊說과 四象體質論을 통해 본 인간 이해

A study on Buddhism and Lee Jema’s thought on human being through the Five Aggregates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불교학연구 | 31 | 2012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