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연구분야 : A041702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종교 > 원불교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900

한자 : 圓佛敎
영어 : Won-Buddhism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사은 [ 四恩 ]

hasProperty (특성/속성)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정신개벽 [ 精神開闢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불교 () [ 佛敎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민족 종교 [ 民族宗敎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타 자녀 교육 () [ 他子女敎育 ]

isConceptOf (개념(전체))

관련 종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마음공부 () [ --工夫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무아봉공 () [ 無我奉公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예법 [ 禮法 ]

한국 신종교의 생사관과 상장례-계승과 혁신을 중심으로-

Views of Life-Death and Death Rites in Korean New Religions -Focusing on Success and Renovation-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생사관과 상장례-계승과 혁신을 중심으로-

Views of Life-Death and Death Rites in Korean New Religions -Focusing on Success and Renovation-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고소설『박태보전』독자 수용 일고찰 - 처화의 마음에 자리한 도사 상(像)과 관련하여 -

A study about acceptance of reader of 『old Nobel paktaebojoen』 - in concern of a ascetic figuration in mind of cheohwa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3 | 2012 | 원불교학

죽음의 원불교적 해석학- 인도적 사유의 관점에서-

Won-Buddhist Hermeneutics on the Death: An Aspect of Indian Thought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6 | 2010 | 원불교학

죽음의 원불교적 해석학- 인도적 사유의 관점에서-

Won-Buddhist Hermeneutics on the Death: An Aspect of Indian Thought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6 | 2010 | 원불교학

한국 염불선(念佛禪)의 전통과 마음공부론

The Tradition of Amitabha-Zen(念佛禪) and the Theory of Mind Study

교육철학연구 | 34 | 2 | 2012 | 교육학

실화와 설화의 경계와 소통 -금사망보 실화 중심-

A folkloristik research of story ‘Guemsamangbo'

인문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모바일웹(QR코드)을 연계한 장신구 개발에 관한 연구 -원불교역사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Study of the development of (jewelry) ornaments linked with mobile web(QR codes) - Focusing the collection of the Museum of Won Buddhism History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 6 | 1 | 2012 | 기타디자인

원불교의 죽음교육과 생사관

The View of Death and the Education on Death in Won-Buddhism

신종교연구 | 24 | 24 | 2011 | 종교학

원불교 소태산대종사의 대각과 그 교리적 영향

Wonbuddhism Grand Master Sotaesan's Enlightenment and its dogmatic Influence

신종교연구 | 22 | 22 | 2010 | 종교학

원불교 소태산대종사의 대각과 그 교리적 영향

Wonbuddhism Grand Master Sotaesan's Enlightenment and its dogmatic Influence

신종교연구 | 22 | 22 | 2010 | 종교학

남종선과 북종선의 관점에서 본 원불교의 마음과 수행법

The Mind and the Training Method of Won Buddhism from the Viewpoint of Southern School Seon and Northern School Seon

신종교연구 | 26 | 26 | 2012 | 종교학

체육철학적 관점에서 본 정산 송규의 영기질론

A Study on the Concept of Spirit-Energy-Matter of Jungsan Songyu

신종교연구 | 26 | 26 | 2012 | 종교학

정산종사 삼동윤리의 연구사적 검토

A Research History Investigation on Three Identities Ethics of Master Jeongsa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2 | 2012 | 원불교학

대순진리회의 정신개벽론 연구 -천도교와 원불교 정신개벽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eory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Human Spirit of DaesoonJinrihoe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Cheondogyo, Won Buddhism-

신종교연구 | 25 | 25 | 2011 | 종교학

다문화사회와 원불교의 종교교육

Won-Buddhist Religious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종교교육학연구 | 36 | 2011 | 종교학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개혁과 선사상

Sotaesan-Pakjungbin’s Reformation of Buddhism and his Seon Thought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5 | 2010 | 원불교학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개혁과 선사상

Sotaesan-Pakjungbin’s Reformation of Buddhism and his Seon Thought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5 | 2010 | 원불교학

초기 원불교의 신화적 변용에 대한 연구 -한국 신종교 연구의 방법적 시론-

A Study on Mythical Transformation in Early Won-Buddhism -A Methodological Essay on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신종교연구 | 25 | 25 | 2011 | 종교학

원불교와 오모토(大本)의 변혁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form Thoughts of Won-Buddhism and Oomoto-kyo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4 | 2010 | 원불교학

원불교와 오모토(大本)의 변혁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form Thoughts of Won-Buddhism and Oomoto-kyo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4 | 2010 | 원불교학

Western mindfulness-based therapies: Exploratory links to Won-Buddhism

서양의 마음챙김 치료: 원불교와의 연결을 위한 탐색적 접근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2 | 2012 | 원불교학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의 주체적 수용을 통한 원불교 개체성 확립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Notion of Individuality in Won-Buddhism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Accepta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6 | 2010 | 원불교학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의 주체적 수용을 통한 원불교 개체성 확립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Notion of Individuality in Won-Buddhism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Accepta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6 | 2010 | 원불교학

원불교의 후천개벽(後天開闢) 세계관

The Won-Buddhist View of the Great Opening Era of the Latter Heave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4 | 2010 | 원불교학

원불교의 후천개벽(後天開闢) 세계관

The Won-Buddhist View of the Great Opening Era of the Latter Heave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4 | 2010 | 원불교학

원불교 전무출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rdained devotee of Won-Buddh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8 | 2011 | 원불교학

원불교 교립 중등학교 “종교” 교과서 개발의 현황과 과제

Tasks and Present Status of Religious Textbook of Secondary Schools in Won-buddhism

종교교육학연구 | 38 | 2012 | 종교학

원불교 교화의 양상과 방식

The Condition and Method of Won-Buddhist Edification

종교교육학연구 | 37 | 2011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