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투쟁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942

한자 : 認定鬪爭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승인 투쟁 [ 承認鬪爭 ]

죽음의 순간에야 확인되는 가족의 문화적 경계: 9.11 테러와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Cultural Boundaries of Families: A Comparative Approach to the September 11 Attacks and ROKS Cheon’an Sinking

사회와 이론 | 20 | 2012 | 기타사회학

마음의 실천철학— 우리는 자유로운 마음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

Practical Philosophy of the Mind. How can we get the free mind?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0 | 2011 | 원불교학

헤겔의 ‘불행한 의식’과 인문적 주체의 역설

Hegelian Unhappy Consciousness and Paradoxes of Humanistic Subject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헤겔의 ‘불행한 의식’과 인문적 주체의 역설

Hegelian Unhappy Consciousness and Paradoxes of Humanistic Subject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마당: 열림과 닫힘의 세미오시스

Madang: The Semiosis of its Opening and Closing

기호학 연구 | 27 | 2010 | 언어학

마당: 열림과 닫힘의 세미오시스

Madang: The Semiosis of its Opening and Closing

기호학 연구 | 27 | | 2010 | 언어학

한국 내 몽골결혼이주여성의 다원주의적 인정투쟁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s Pluralistic Struggle of Recognition in Korea

몽골학 | 30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인정,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고, 쓰여지지 않은 공간을 발견하다: 지리학이 인문학인 또 다른 이유

Recognition Saves a Space where Invisible, Inaudible, and Unwritable - Another Reason for Geography as Humanities -

대한지리학회지 | 46 | 6 | 2011 | 지리학

“인정투쟁”으로서 주변의 재발견―독일사회의 일국적 패러다임과 트랜스내셔널 이주민공동체

The Rediscovery of the Periphery a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National Paradigm of the German Society and transnational Immigration Communities

역사비평 | 93 | 2010 | 역사학

“인정투쟁”으로서 주변의 재발견―독일사회의 일국적 패러다임과 트랜스내셔널 이주민공동체

The Rediscovery of the Periphery a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National Paradigm of the German Society and transnational Immigration Communities

역사비평 | | 93 | 2010 | 역사학

죽음의 문화정치학:한국의 ‘장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The Cultural Politics of Death: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Funeral Rites’ in Korea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죽음의 문화정치학:한국의 ‘장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The Cultural Politics of Death: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Funeral Rites’ in Korea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인정투쟁 공간/장소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공동체: ‘아이다’마을을 중심으로

Multicultural Commun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Space/Place of Struggling for Recognition

한국여성철학 | 14 | 2010 | 여성철학

인정투쟁 공간/장소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공동체: ‘아이다’마을을 중심으로

Multicultural Commun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Space/Place of Struggling for Recognition

한국여성철학 | 14 | | 2010 | 여성철학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실현―진실화해위원회 활동과 권고사항의 이행기 정의를 중심으로

Transitional Justice and Realization of Democracy: Focus on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ublic of Korea’s Activities and Implementation of recommendations

역사비평 | 93 | 2010 | 역사학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실현―진실화해위원회 활동과 권고사항의 이행기 정의를 중심으로

Transitional Justice and Realization of Democracy: Focus on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ublic of Korea’s Activities and Implementation of recommendations

역사비평 | | 93 | 2010 | 역사학

새로운 시민의 참여와 인정투쟁 -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구술 사례연구

한국사회학 | 44 | 1 | 2010 | 사회학

새로운 시민의 참여와 인정투쟁 -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구술 사례연구

한국사회학 | 44 | 1 | 2010 | 사회학

선 윤리는 어떻게 가능한가?

Wie ist die Ethik des Guten Möglich?

사회와 철학 | 23 | 2012 | 철학일반

세계시민의 영원한 평화를 위한 단서조항(但書條項) -칸트와 헤겔의 전쟁과 평화 이론-

Vorbehaltsartikel zum ewigen Frieden des Weltbürgers: Lehre des Krieges und Friedens bei Kant und Hegel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세계시민의 영원한 평화를 위한 단서조항(但書條項) -칸트와 헤겔의 전쟁과 평화 이론-

Vorbehaltsartikel zum ewigen Frieden des Weltbürgers: Lehre des Krieges und Friedens bei Kant und Hegel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5 ․ 18시민군기동타격대원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회적 트라우마티즘 형성 과정

The Formation of a Social Traumatism in the Life History of The Special Strike Force of Civil Militia in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기억과 전망 | 26 | 2012 | 사회학

칸트 윤리학을 넘어 헤겔 인륜성의 철학에로 - 이충진의 반론에 대한 응답 -

From Kant's Ethics to Hegel's Philosophy of Ethical Life - Reply to Lee, Choong Jin -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중국동포(Chinese-Korean) 집단적 거주지에 나타난 지역사회에 대한 중국동포의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tion of Chinese-Korean's Recognition to the Local Community in their Enclave

한국사회복지학 | 63 | 3 | 2011 | 사회복지학

한국 체류 조선족 ‘단체’의 변화와 인정투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Korean-Chinese ‘organization’ and Struggle for Recognition in Korea

경제와 사회 | 91 | 2011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