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

연구분야 : A050400 인문학 > 기독교신학 > 조직신학
A070100 인문학 > 유교학 > 유교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966

한자 : 正統
그리스어 : orthodoxos
영어 : orthodox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종교 전쟁 [ 宗敎戰爭 ]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종교개혁 () [ 宗敎改革 ]

『동사강목』의 편찬 배경과 강목체 기년

Compiling Background and the Gangmok Style of Chronologies of Dongsa Gangmu

韓國史學史學報 | 24 | 2011 | 역사학

沙溪 金長生의 의리정신

Sagae Kim-jang sang’s spirit of The Chronicles of Lu and righteousness

한국사상과 문화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인조대 전례논쟁을 통해 본 17세기 전반 조선 지식관료층의 정통(正統) 관념

A study on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cheongt’ung(正統) in the 17th centur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9 | 2011 | 사회학

이이(李珥)의 『순언』(醇言)과 이단의 문제-조선조 유가 지식인의 내면 풍경에 대한 한 가지 고찰-

Yi Yul-gok and the Lao-tzu-The Ambivalence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Confucianism-

시대와 철학 | 23 | 1 | 2012 | 철학

正統과 異端, 그 역사와 본질 - 율곡을 중심으로 -

Orthodoxy and Heterodoxy, Their History and Substance : Focuses on YulGok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正統과 異端, 그 역사와 본질 - 율곡을 중심으로 -

Orthodoxy and Heterodoxy, Their History and Substance : Focuses on YulGok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五代十國의 통일 방략

五代十國の統一方略

동국사학 | 52 | 2012 | 역사학

佛敎에서의 正統과 異端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thodoxy and Heresy in Buddhism - With a focus on early Buddhism –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佛敎에서의 正統과 異端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thodoxy and Heresy in Buddhism - With a focus on early Buddhism –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