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태

연구분야 : A030402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고대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3055

STNet ID : 1002877

한자 : 現實態
그리스어 : energeia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형상인 [ 形相因 ]

hasComponent (구성요소)

 

 

완성태 [entelekie]

철학, 존재, 언어: 들뢰즈와 화이트헤드 - 사건론의 두 유형 -

Deleuze and Whitehead on Philosophy, Being, and Language

화이트헤드 연구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철학, 존재, 언어: 들뢰즈와 화이트헤드 - 사건론의 두 유형 -

Deleuze and Whitehead on Philosophy, Being, and Language

화이트헤드 연구 |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존재와 인식의 딜레마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M권 10장의 결론을 중심으로 ―

Aristotle on the Dilemma of Being and Knowing - focused on Metaphysics M,10 -

철학 | 102 | 2010 | 철학

존재와 인식의 딜레마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M권 10장의 결론을 중심으로 ―

Aristotle on the Dilemma of Being and Knowing - focused on Metaphysics M,10 -

철학 | | 102 | 2010 | 철학

한국 근대시에서 절망과 기교가 교섭하는 두 가지 방식 -이상과 김춘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wo Ways of Relating Despair and Poetic 'Techne' -Focusing on Yi Sang's and Kim Choon-soo's Poetry-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또는 이미지로서의 시간

Das Zeit-Bild von Gilles Deleuze. Bild als Zeit

뷔히너와 현대문학 | 35 | 2010 | 독일어와문학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또는 이미지로서의 시간

Das Zeit-Bild von Gilles Deleuze. Bild als Zeit

뷔히너와 현대문학 | | 35 | 2010 | 독일어와문학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실태 해석과 응용 -현실태와 존재-

Thomas Aquinas on Explanation and Application of ‘Energeia’ -Energeia and Esse-

가톨릭철학 | 15 | 2010 |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실태 해석과 응용 -현실태와 존재-

Thomas Aquinas on Explanation and Application of ‘Energeia’ -Energeia and Esse-

가톨릭철학 | | 15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