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한국불교와 남도육종의 전개
Early Korean Buddhism and Nanto Buddhism in Japan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일본화엄문헌에서의 『화엄경문답』인용 경향
The Tendency of Hwaom Kyong Mundap Quotation in Japanese Huayan Literature
禪學(선학) |
31 |
2012 |
응용불교학
한국 불교의 생명⋅생태 사상과 그 실천 운동
Ecological Application of Korean Buddhism and Its Contemporary Practices
철학사상 |
41 |
2011 |
철학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和諍論 : 불교해석학 연구의 自註, 혹은 補論
Harmonization(Samuccayavāda) between Āgama/Nikaya and Mahāyāna Sūtras
보조사상 |
34 |
2010 |
종교학
文人畵의 프리즘을 통한 華藝의 예술정신
The Artistic Spirit of Floral Art Viewed through the Prism of Literati Paintings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24 |
2011 |
기타예술체육
7세기 지성으로서의 고승(高僧) 의상(義湘) 연구
七世纪的知性人高僧义湘硏究
한국교육사학 |
34 |
2 |
2012 |
교육학
新羅의 觀音信仰과 바다
The Association of the Sea with the Avalokitesvara-faith(Kwan-eum faith) during the Silla Dynasty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新羅의 觀音信仰과 바다
The Association of the Sea with the Avalokitesvara-faith(Kwan-eum faith) during the Silla Dynasty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圃隱 鄭夢周의 中國 使行詩에 나타난 自然現象의 意象 變化
Changes in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Phenomena Expressed in Poeun(圃隱) Jeong Mong-ju(鄭夢周)'s Diplomatic Poems Written on His Envoy to China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王維山水詩中的畫意探討
The pictorial Image of Wang-Wei’s Scenery poem
인문과학연구논총 |
31 |
2010 |
기타인문학
王維山水詩中的畫意探討
The pictorial Image of Wang-Wei’s Scenery poem
인문과학연구논총 |
|
31 |
2010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에 확산된 의상과 선묘의 사랑 이야기
日本語文學 |
1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Символика одежды в романе «Анна Каренина»
소설 <<안나 카레니나>>에 나타난 옷의 상징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7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8세기 화엄교학과 화엄사찰
Hwaom thought and Hwaom temples of 8th century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동아시아 화엄사상에서 의상과 법장의 위상
The Status of Uisang and Fazang in East Asian Huayan Studies
불교학보 |
61 |
2012 |
기타불교학
義湘의 行路와 사상적 변화에 대한 고찰
Study on Uisang (義湘)'s Path of Life and His Ideological Change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義湘과 元曉의 관음신앙 비교-『三國遺事』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between Uisang and Wonhyo about Avalokitesvara belief
한국고대사연구 |
60 |
2010 |
한국고대사
義湘과 元曉의 관음신앙 비교-『三國遺事』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between Uisang and Wonhyo about Avalokitesvara belief
한국고대사연구 |
|
60 |
2010 |
한국고대사
의상(義湘)의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 圖)』의 교육사(敎育史)적 의의
义湘 ≪华严一乘法界图≫的教育史意义
동아시아불교문화 |
11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