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패널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3710

STNet ID : 1002917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한국노동패널조사 [ 韓國勞動--調査 ]

은퇴와 가계소비간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Household Consumption

경제분석 | 17 | 1 | 2011 | 경제학

은퇴와 가계소비간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Household Consumption

경제분석 | 17 | 1 | 2011 | 경제학

국내가계의 부채증가 추세 및 요인에 관한 연구 - 미시자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rend and Determinants ofDomestic Households' Debt-Analysis of Micro-Level Data-

응용경제 | 13 | 1 | 2011 | 경제학

가계부채 상환부담의 분포와 추이

The Distribution and Trend of Korean Household's Debt Burden

경제발전연구 | 17 | 1 | 2011 | 경제학

‘좋은 일자리’ 분포의 지역별 변화와 이행과정의 결정요인

The change in Regional Distribution and transition of ‘good jobs’ and its Determining Factors

지방행정연구 | 25 | 3 | 2011 | 행정학

가계부채 상환부담의 분포와 추이

The Distribution and Trend of Korean Household's Debt Burden

경제발전연구 | 17 | 1 | 2011 | 경제학

국내가계의 부채증가 추세 및 요인에 관한 연구 - 미시자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rend and Determinants ofDomestic Households' Debt-Analysis of Micro-Level Data-

응용경제 | 13 | 1 | 2011 | 경제학

일반화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지역 간 노동이동요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Labor Mobility using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지역연구 | 28 | 3 | 2012 | 국제/지역개발

우리나라 대중부유층(Mass affluent)의 특성 및 진입 요인

Korean Mass Affluent and Entry into the Mass Affluent

대한경영학회지 | 23 | 5 | 2010 | 경영학

우리나라 대중부유층(Mass affluent)의 특성 및 진입 요인

Korean Mass Affluent and Entry into the Mass Affluent

대한경영학회지 | 23 | 5 | 2010 | 경영학

우리나라의 세대 내 소득이동성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Intragenerational Income Mobility in Korea

노동경제논집 | 35 | 2 | 2012 | 경제학

우리나라의 세대 내 소득이동성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Intragenerational Income Mobility in Korea

노동경제논집 | 35 | 2 | 2012 | 경제학

우리나라 대중부유층(Mass affluent)의 특성 및 진입 요인

Korean Mass Affluent and Entry into the Mass Affluent

대한경영학회지 | 23 | 5 | 2010 | 경영학

우리나라 대중부유층(Mass affluent)의 특성 및 진입 요인

Korean Mass Affluent and Entry into the Mass Affluent

대한경영학회지 | 23 | 5 | 2010 | 경영학

기간제 노동자의 지위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Fixed-term workers' transition to the status of regular contracts: An Event History Analysis of Determinants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2 | 2010 | 정책학

기간제 노동자의 지위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Fixed-term workers' transition to the status of regular contracts: An Event History Analysis of Determinants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2 | 2010 | 정책학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ife-satisfaction in Korea

경제학연구 | 58 | 1 | 2010 | 경제학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ife-satisfaction in Korea

경제학연구 | 58 | 1 | 2010 | 경제학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ife-satisfaction in Korea

경제학연구 | 58 | 1 | 2010 | 경제학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ife-satisfaction in Korea

경제학연구 | 58 | 1 | 2010 | 경제학

가계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the Household Indebtedness in Korea

국제경제연구 | 16 | 1 | 2010 | 경제학

가계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the Household Indebtedness in Korea

국제경제연구 | 16 | 1 | 2010 | 경제학

노동패널을 이용한 주관적 동등화 지수 추정

Estimation of the Subjective Equivalence Scale using KLIPS Data

재정학연구 | 3 | 2 | 2010 | 경제학

노동패널을 이용한 주관적 동등화 지수 추정

Estimation of the Subjective Equivalence Scale using KLIPS Data

재정학연구 | 3 | 2 | 2010 | 경제학

소득계층에 따른 보건의료의 형평성:『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Health Care Finance and Self-Assessed Health in Korea from 1999 to 2007: Measurements Based on KLIPS Survey Data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16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소득계층에 따른 보건의료의 형평성:『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Health Care Finance and Self-Assessed Health in Korea from 1999 to 2007: Measurements Based on KLIPS Survey Data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16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소득계층에 따른 보건의료의 형평성:『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Health Care Finance and Self-Assessed Health in Korea from 1999 to 2007: Measurements Based on KLIPS Survey Data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16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소득계층에 따른 보건의료의 형평성:『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Health Care Finance and Self-Assessed Health in Korea from 1999 to 2007: Measurements Based on KLIPS Survey Data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16 | 1 | 2010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