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구분야 : G060000 예술체육 > 사진

클래스 : 저작(창작)물/정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297

한자 : 寫眞
영어 : Photography
프랑스어 : photographie
독일어 : Photographie
중국어 : 照片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포토그래피 [photography]

UF (비우선어)

 

 

포토 [photo]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영상 재현 [ 影像再現 ]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일러스트레이션 [illustration]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사진 영상 [ 寫眞 映像 ]

isIngredientOf (인공물 전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포토몽타주 () [photomontage]

N1:종류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광고 사진 [ 廣告寫眞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전시 사진 [ 展示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예술 사진 [ 藝術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영정 [ 影幀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지리 사진 [ 地理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범죄 사진 [ 犯罪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보도 사진 [ 報道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입체 사진 [ 立體寫眞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적외선 사진 [ 赤外線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순수 사진 [ 純粹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증명 사진 [ 證明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디지털 사진 [ --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기록 사진 [ 記錄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가족 사진 [ 家族寫眞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기념 사진 [ 紀念寫眞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몽타주 () [montage]

hasIssue (이슈/주제)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사진첩 [ 寫眞帖 ]

hasIssue (이슈/주제)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사진 이미지 [ 寫眞-- ]

hasIssue (이슈/주제)

 

A04 인공물 인공물

사진 건판 [ 寫眞乾板 ]

isCausedBy (원인)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스펙트로그램 [spectrogram]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사진 전시회 [ 寫眞展示會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전시권 [ 展示權 ]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풍크툼 () [punctum]

RT_Y (◄관련어)

교수매체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카메라 프로젝트 [camera project]

RT_Y (◄관련어)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영상 처리 () [ 映像處理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사진사 [ 寫眞師 ]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영상민속지 [ 映像民俗誌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현장 사진 [ 現場寫眞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항공 사진 () [ 航空寫眞 ]

기억의 개인 원리와 소통의 가능성 -김연수 소설의 기억술을 중심으로-

The Personal Remembering and the Mutual Sympathy -focus on the way of remembering in the Kim, Yeon Soo's novel-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창가(唱歌)『한양노래』의 창작 동인과 ‘한양(漢陽)’ 표상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 Changa, Hanyangnore, published by Shinmungwan in 1908, and the Representation of Hanyang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무성격자>에 나타나는 푼크툼의 실현과 서사적 장치

Realization of Punctum which Appears in The Man with no Personality and Descriptive Politics

우리말글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크리스 마커의 <환송대>에 나타난 ‘불가능한 기억’의 문제

Impossible Memory in Chris Marker’s La Jetée

문학과 영상 | 12 | 3 | 2011 | 영상문학

텍스트, 흔적, 인터넷: 디지털 매체 시대의 문화적 기억

Text, trace, internet: cultural memory in the age of digital media

기호학 연구 | 28 | 2010 | 언어학

텍스트, 흔적, 인터넷: 디지털 매체 시대의 문화적 기억

Text, trace, internet: cultural memory in the age of digital media

기호학 연구 | 28 | | 2010 | 언어학

최승희와 매란방

Choe seung hui and Mae ran bang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 영상매체와 공간적 경험에 관한 매체미학적 연구

A Media-Aesthetic Study ion the Relationship of Modern Media of Images and Spatial Experience

美學(미학) | 71 | 2012 | 철학

서사적 사고를 통한 시각 이미지 해석 원리에 관한 연구

문학교육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사적 사고를 통한 시각 이미지 해석 원리에 관한 연구

문학교육학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롤랑 바르트의『밝은 방』에 나타난 지향성의 문제

Question de l'intentionnalité dans La Chambre claire de Roland Barthes

프랑스학연구 | 5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을 활용한 직물디자인 연구 - Creation Baumann 직물 중심으로-

Study on Fabric Design in Digital Textile Printing -Focused on Creation Baumann's Fabric-

조형디자인연구 | 14 | 2 | 2011 | 공예

제품 유형에 따른 광고 특이성의 효과 차이 연구 - 인쇄광고에 나타난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의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Advertising Distinctiveness According to Product Category - The Effects of Photography and Illustration in Print Advertisements

광고연구 | 91 | 2011 | 광고/홍보학

Film und Photographie in Thomas Manns Roman Der Zauberberg

토마스 만의 소설 『마의 산』에서의 영화와 사진

유럽사회문화 | 1 | 2011 | 기타인문학

사진, 매체, 그리고 아우라의 변형: 디지털사진과 디지털아우라

Photography, Media, and Transformation of Aura: Digital Photography and Digital Aura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

프루스트의 이미지와 글쓰기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중심으로

L'image et l'écriture chez Proust - une étude sur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불어불문학연구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프루스트의 이미지와 글쓰기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중심으로

L'image et l'écriture chez Proust - une étude sur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불어불문학연구 |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사진의 상징성과 시간관 고찰 - <비오는 길>을 중심으로 -

Photographic symbolism and contemplation of idea of times which appear in the novel of Choi Myung Ik with the novel of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 당시 미국잡지에 실린 한국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Images in Popular US Magazines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군사학논집 | 68 | 2 | 2012 | 군사이론

보도사진 속 감정과 댓글이 공감을 통해 태도와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Feelings Presented in Photo News, the Valence of Online Replies, Empathy,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ve Role of Empathy

미디어 경제와 문화 | 9 | 1 | 2011 | 기타신문방송학

Заметки к изучению роли фотографии в создании писательского образа

Notes to studying of a role of a photo in creation of a literary image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8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한국적 조형의식과 등가성 사진개념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ssociation of Korean Formative Awareness and Concepts of Equivalence Photo

기초조형학연구 | 12 | 4 | 2011 | 예술일반

기억의 상호매체적 구성: 알랭 레네의 <히로시마 내 사랑>과 홍상수의 <하하하>

Intermedial Memory-Construction: Alain Renais' Hiroshima Mon Amour and Sang Soo Hong's Hahaha

기초조형학연구 | 12 | 3 | 2011 | 예술일반

사전설계, 사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블록구성놀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집 만들기’를 중심으로 ‒

The educational value of ‘Build a House’: a constructive playing with blocks activity using pre-drawing, photos, and portfolios

유아교육연구 | 32 | 1 | 2012 | 교육학

“실제 전쟁” 사진 찍기: 월트 휘트먼과 남북전쟁

Photographing “The Real War”: Walt Whitman and the Civil War

영어영문학연구 | 53 | 4 | 2011 | 영어와문학

LA JETÉE – by Chris Marker

크리스 마르케르의 <환송대>

영상문화 | 17 | 2011 | 학제간연구

사진표현활동을 통한 감성지능계발 프로그램 연구

The research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ing program Through photograph activities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

사진표현활동을 통한 감성지능계발 프로그램 연구

The research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ing program Through photograph activities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

잡지매체에서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ing Pictures and Illustrations in Magazine Media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8 | 2 | 2010 | 디자인

잡지매체에서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ing Pictures and Illustrations in Magazine Media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8 | 2 | 2010 | 디자인

비주얼 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서 광고사진 작가와 촬영 의뢰인의 사이의 저작권 소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pyright Jurisdiction between Photographers and Clients in Commercial Visual Illustration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11 | 23 | 2010 | 디자인

비주얼 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서 광고사진 작가와 촬영 의뢰인의 사이의 저작권 소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pyright Jurisdiction between Photographers and Clients in Commercial Visual Illustration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11 | 23 | 2010 | 디자인

인쇄매체광고에 사용되는 일러스트레이션과 사진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used on Print Advertisements

조형미디어학 | 13 | 1 | 2010 | 기타미술

인쇄매체광고에 사용되는 일러스트레이션과 사진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used on Print Advertisements

조형미디어학 | 13 | 1 | 2010 | 기타미술

관광객 시선에서 사진이 갖는 함의

Implications of Photograph in Tourist Gaz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1 | 2011 | 기타지리학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에 나타난 재현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War Photographs of Pictorial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1980' and 199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2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에 나타난 재현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War Photographs of Pictorial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1980' and 199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2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한국전쟁 사진에 나타난 여성

Women in Korean War Photography

언론과학연구 | 11 | 2 | 2011 | 신문방송학

롤랑 바르트의 ‘어두운 방’ : 사진의 특수성

Roland Barthes's ‘Camera Obscura’ : The Photographic Specificity

미학예술학연구 | 32 | 2010 | 기타예술체육

롤랑 바르트의 ‘어두운 방’ : 사진의 특수성

Roland Barthes's ‘Camera Obscura’ : The Photographic Specificity

미학예술학연구 | 32 | | 2010 | 기타예술체육

패키지디자인에 사용된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의 속성에 따른 활용사례 연구

A Study for Utilization of Photographic Images and Illustrations on Package Design Considering Their Attributes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12 | 29 | 2011 | 디자인

시각이미지에 내재된 패러디 코드에 대한 논의

A discussion on Parody Code in Visual Contents.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 6 | 3 | 2011 | 기타신문방송학

Bildbegriff und mediale Kontingenzerfahrung in Die helle Kammer. Bemerkung zur Photographie von Roland Barthes

롤랑 바르트의 밝은 방. 사진에 대한 노트 에서 보여진 그림에 대한 개념과 우연에 대한 경험

카프카 연구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스톡 사진의 판매와 제작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stock photo sale and production

기초조형학연구 | 12 | 1 | 2011 | 예술일반

볼탄스키(Christian Boltanski)의 작품 ‘기념비'의 의미 연구

Researches for Significance of 'Monument' in Christian Boltanski's Works

기초조형학연구 | 12 | 5 | 2011 | 예술일반

회화에 활용된 사진의 망점 테크닉 연구

The research of the dot technique which is applied in painting

예술과 미디어 | 10 | 2 | 2011 | 기타예술일반

사진과 죽음의 수사: 바르트 사진론 다시 읽기

Photography and the Rhetoric of Death: Re-reading the Barthes' Theory of Photography

현대미술학 논문집 | 15 | 2 | 2011 | 예술일반

사진매체를 통한 시간성 표현 연구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ime through Photography

기초조형학연구 | 12 | 6 | 2011 | 예술일반

인쇄신문과 인터넷신문에서 사진이 이용자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수용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hotograph in Printed Newspaper and Internet Newspaper on Audience's Memory : Focused on Audience of university Students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 7 | 1 | 2012 | 기타신문방송학

소설에 나타난 사진 이미지 고찰 - ‘로덴바흐’와 ‘미셀 투르니에’의 소설을 중심으로 -

Le sens de l’image photographique dans La Goutte d'or de Michel Tournier ainsi que dans Bruges-la-Morte de Rodenbach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8 | 2011 | 프랑스문화학

현대 사진예술과 환상의 지시론적 재현

L'art photographique contemporain et la représentation indicielle du fantasm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8 | 2011 | 프랑스문화학

19세기 사진제판의 발명과 발견의 역사 L‘histoire de l'invention et de la découverte des procédés photomécaniques au XIXème siècle

L‘histoire de l'invention et la découverte des procédés photomécaniques au XIXème siècl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2010 | 프랑스문화학

19세기 사진제판의 발명과 발견의 역사 L‘histoire de l'invention et de la découverte des procédés photomécaniques au XIXème siècle

L‘histoire de l'invention et la découverte des procédés photomécaniques au XIXème siècl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 2010 | 프랑스문화학

사진과 구술을 통해 본 민중의 삶과 터전

Life and Place of People without History through the Gaze of Photography and Life History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1 | 2010 | 기타지리학

사진과 구술을 통해 본 민중의 삶과 터전

Life and Place of People without History through the Gaze of Photography and Life History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1 | 2010 | 기타지리학

사진의 결정적 순간에 관한 오해와 진실 -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의 <생-라자르 역>을 중심으로 -

Le malentendu et la vérité sur le moment décisif en photographie - autour de chez Henri Cartier-Bresson

기호학 연구 | 30 | 2011 | 언어학

幻象與權謀 -論清末民初照相背後的政治角力-

환상과 권모 -청말민초(清末民初) 사진에 숨겨진 정치력-

중국사연구 | 76 | 2012 | 동양사

사진의 교육학적 의미- 교육학적 관점의 LTP 분석과 시사점 -

Meaning and Value of Photography in Education- An analysis and implication of LTP program in the aspect of pedagogy -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사진의 교육학적 의미- 교육학적 관점의 LTP 분석과 시사점 -

Meaning and Value of Photography in Education- An analysis and implication of LTP program in the aspect of pedagogy -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사진에 나타난 대한제국기 황제의 군복형 양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ilitary suit of Emperor of the Daehan Empire in photos

한국문화 | 50 | 2010 | 기타인문학

사진에 나타난 대한제국기 황제의 군복형 양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ilitary suit of Emperor of the Daehan Empire in photos

한국문화 | | 50 | 2010 | 기타인문학

사진의 특성에 따른 화예디자인 연출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Presentation Method of Floral Art Work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ic Presentation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24 | 2011 | 기타예술체육

사진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otograph based Language Arts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교원교육 | 28 | 2 | 2012 | 교육학

수사방법으로서 사진촬영의 형사소송법적 쟁점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2.23. 선고 2011고합1131 판결의 평석을 겸하여

A Study on Photograph-taking as a way of Investigation

민주법학 | 49 | 2012 | 법학

기계의 눈과 우울한 오브제-기술제국의 시각지배와 식민지의 사진 (무)의식

The Eye of the Machine and the Melancholic Objects - Visual Control through the Empire of Technology and (Un)consciousness about Photography in the Colony

사이間SAI | 10 | 2011 | 기타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