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기억

연구분야 : G010000 예술체육 > 예술일반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467

한자 : 文化的 記憶
독일어 : kulturelles gedachtnis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문화 () [ 文化 ]

RT_X (관련어►)

매개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문화 유산 () [ 文化遺産 ]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The discussions about reinstatement and posthumous honoring of King Danjong's royal subjects and the change of King Sejo's perception of Sayuksin

사학연구 | 98 | 2010 | 역사학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The discussions about reinstatement and posthumous honoring of King Danjong's royal subjects and the change of King Sejo's perception of Sayuksin

사학연구 | | 98 | 2010 | 역사학

‘피부’: 문화적 기호와 육체성이 교차하는 경계면 - 카프카의 「변신」과 「유형지에서」 분석

‘Haut’ als Schnittstelle von Körperlichkeit und kulturellem Zeichen In Bezug auf Kafkas Die Verwandlung und In der Strafkolonie

뷔히너와 현대문학 | 38 | 2012 | 독일어와문학

프로이트의 모세와 기억담론

독어독문학 | 51 | 3 | 2010 | 독일어와문학

프로이트의 모세와 기억담론

독어독문학 | 51 | 3 | 2010 | 독일어와문학

문화적 기억과 문학적 기억으로서의 여성시- 독일의 힐데 도민과 한국의 고정희 시를 사례로-

Female Poetry as Cultural and Literary Memory -A Comparative Study of German Poet, Hilde Domin, and Korean Poet, Goh Jung Hee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3 | 2011 | 기타인문학

국어 교과서와 기억의 구성 -해방기에서 전후의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Korean Textbooks and the Construction of Memory -focusing on Junior High Korean Textbooks from the Liberation Era to the Postwar Era-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와 기억의 구성 -해방기에서 전후의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Korean Textbooks and the Construction of Memory -focusing on Junior High Korean Textbooks from the Liberation Era to the Postwar Era-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회선유줄불놀이 복원과 변용의 다층성과 역동성

An Essay on the Diverse Characteristic and Dynamics of Restored Cultural Memory

비교민속학 | 48 | 2012 | 역사학

문화적 기억과 역사적 장소 : 1920년~1938년의 경주

Cultural Memory and Historical Place: Gyeongju from 1920 to 1938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관광지 스토리텔링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관점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Storytelling Forming Process of Tourism Destination - Focused on the Cultural Memory of Assmann -

관광연구 | 26 | 1 | 2011 | 관광학일반

일그러진 개인사 속의 세계사 ― 우르스 비트머의 『어머니의 연인』에 나타난 기억의 양상

Weltgeschichte in einem verzerrten Lebenslauf ― Erinnerungsmodus in Urs Widmers Der Geliebte der Mutter

독어독문학 | 52 | 1 | 2011 | 독일어와문학

문화기억의 철학적 성찰과 문화콘텐츠 연구-한국 근대의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and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Memory’ -Focusing on the Time and the Space of Korean Modern Time-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기억의 철학적 성찰과 문화콘텐츠 연구-한국 근대의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and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Memory’ -Focusing on the Time and the Space of Korean Modern Time-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6.25전쟁에 대한 문화적 기억과 장소

Cultural Memory and Place for the 6.25 War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독일 아동 및 청소년 문학의 ‘영화화’

Verfilmungen der deutschen Kinder- und Jugendliteratur

독어교육 | 48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 아동 및 청소년 문학의 ‘영화화’

Verfilmungen der deutschen Kinder- und Jugendliteratur

독어교육 | 48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문화적 기억과 기억의 수사 - 기억 형식으로서의 묘비시를 중심으로 -

Kulturelles Gedächtnis und Rhetorik der Erinnerung - Epitaph als Form des Gedächtnisses -

수사학 | 12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적 기억과 기억의 수사 - 기억 형식으로서의 묘비시를 중심으로 -

Kulturelles Gedächtnis und Rhetorik der Erinnerung - Epitaph als Form des Gedächtnisses -

수사학 | | 12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적 기억과 그것의 정치- 신학적 영향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memory and it’s History of political-theological Influence

한국조직신학논총 | 26 | 2010 | 조직신학

문화적 기억과 그것의 정치- 신학적 영향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memory and it’s History of political-theological Influence

한국조직신학논총 | | 26 | 2010 | 조직신학

텍스트, 흔적, 인터넷: 디지털 매체 시대의 문화적 기억

Text, trace, internet: cultural memory in the age of digital media

기호학 연구 | 28 | 2010 | 언어학

텍스트, 흔적, 인터넷: 디지털 매체 시대의 문화적 기억

Text, trace, internet: cultural memory in the age of digital media

기호학 연구 | 28 | | 2010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