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현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596

STNet ID : 1000731

한자 : 李齊賢
시호(諡號) : 문충(文忠)
호(號) : 익재(益齋)
호(號) : 역옹(櫟翁)
호(號) : 실재(實齋)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자

 

중사 [ 仲思 ]

UF (비우선어)

본명/초명

 

지공 [ 之公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만권당 [ 萬卷堂 ]

權漢功의 生涯와 行蹟

The Life and Career of Kwon Han-gong(權漢功)

대구사학 | 104 | 2011 | 역사학

宋元版의 資料에 收錄되어 있는 高麗王朝 關聯記事의 硏究

A Study of Accounts on the Koryo Dynasty in Literature of the Sung-Yuan Period

역사교육논집 | 46 | 2011 | 역사학

橘山 李裕元 小樂府와 19世紀 士大夫 時調 享有의 特性 考察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oahkbu of Geulsan Lee Yu-Won and enjoyment of Sijo by the 19C's Sadaebu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번역시가로서의 소악부 형성 과정과 번역 방식 고찰

The formation process of Translation and Translation poetry as a way Soakbu Discussion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13세기 대거란전과 김취려-김취려에 대한 인물사적 평가-

Resistance against the Khitan Hordes in the 13th Century and Kim Ch'uiryŏ

한국인물사연구 | 15 | 2011 | 역사학

高麗文人對王維的接受

중국학 | 37 | 2010 | 기타중문학

高麗文人對王維的接受

중국학 | | 37 | 2010 | 기타중문학

원 간섭기 역사학의 새 경향-當代史 연구

The New Historiography in the 14th Century of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小樂府 제작 동기에 보이는 국문시가관

The Viewpoints on Korean Song Viewed at the Compositions of Korean SOACKBOO(小樂府)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小樂府 제작 동기에 보이는 국문시가관

The Viewpoints on Korean Song Viewed at the Compositions of Korean SOACKBOO(小樂府)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14세기 前半期 글쓰기 樣相의 한 局面에 대하여

A Writing Aspect of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Literary Artist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4 | 2012 | 한문비평

景濂亭 卓光茂의 삶과 시적 具顯

Tak Gwang Mu's Life and His Poetic Realizat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景濂亭 卓光茂의 삶과 시적 具顯

Tak Gwang Mu's Life and His Poetic Realizat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A study of GoRyu(高麗) LiQiXian(李齊賢) Ci Poetry(詞)'s receptivity from SuShi(蘇軾) HaoFangCi(豪放詞)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A study of GoRyu(高麗) LiQiXian(李齊賢) Ci Poetry(詞)'s receptivity from SuShi(蘇軾) HaoFangCi(豪放詞)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Reappraisal of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sserted by Lee Je-hyun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Reappraisal of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sserted by Lee Je-hyun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Reappraisal of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sserted by Lee Je-hyun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Reappraisal of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sserted by Lee Je-hyun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A study of GoRyu(高麗) LiQiXian(李齊賢) Ci Poetry(詞)'s receptivity from SuShi(蘇軾) HaoFangCi(豪放詞)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A study of GoRyu(高麗) LiQiXian(李齊賢) Ci Poetry(詞)'s receptivity from SuShi(蘇軾) HaoFangCi(豪放詞)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