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애 「소금」의 개념적 은유 접근 방법
Conceptual Metaphor Approach of Kyung-ae Kang's "The Salt"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유럽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관한 고찰 - 사회갈등을 넘어 사회통합으로
Eine Studie über di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von Europa und Korea - vom Gesellschaftskonflikt zur Gesellschaftsintegration
독어교육 |
47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유럽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관한 고찰 - 사회갈등을 넘어 사회통합으로
Eine Studie über di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von Europa und Korea - vom Gesellschaftskonflikt zur Gesellschaftsintegration
독어교육 |
47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인문학, 번역, 미시정치학
Humanities, Translation and the Politics of Microspection
코기토 |
71 |
2012 |
기타인문학
국경이 놓인 오사카 재일한인 여성의 가족과 친족
Family and Kinship of Korean Women in Japan between Borders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국경이 놓인 오사카 재일한인 여성의 가족과 친족
Family and Kinship of Korean Women in Japan between Borders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해외입양인 내러티브에 나타난 침묵된 이주와 죽음의 이미지:〈여행자〉와 〈귀향〉을 중심으로
Silent Migration and Images of Death in A Brand New Life and in A Blind Riv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해외입양인 내러티브에 나타난 침묵된 이주와 죽음의 이미지:〈여행자〉와 〈귀향〉을 중심으로
Silent Migration and Images of Death in A Brand New Life and in A Blind Riv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룻기를 통해 본 이주여성 사역에 대한 연구
Immigrant women ministry through the book of Ruth
복음과 실천신학 |
22 |
2010 |
실천신학
룻기를 통해 본 이주여성 사역에 대한 연구
Immigrant women ministry through the book of Ruth
복음과 실천신학 |
22 |
|
2010 |
실천신학
한국에서의 국제적 노동이동의 시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 해외취업 이출과 이주노동자 이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ime-Periodic Characteristic of Global Labor Migration in Korea : Focused on Overseas Employmented Worker and Migrant Worker in Korea
산업경제연구 |
24 |
5 |
2011 |
경제학
한국 아동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다문화’ 갈등과 그 해결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Conflicts and Solving Process in Multicultural Situation of Korean Novels for Children and Teenagers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아동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다문화’ 갈등과 그 해결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Conflicts and Solving Process in Multicultural Situation of Korean Novels for Children and Teenagers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元나라의 耽羅 통치와 移住, 그리고 자취
元朝对耽羅的統治與人口遷徙的歷史遺跡
중국사연구 |
76 |
2012 |
동양사
북한의 식량난 및 기근과 인구변동
The Economic Hardship and Famine since the 1990s in North Korea and Its Impact on the Population Dynamics
통일정책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元末ㆍ明初의 雲南과 故元 後裔의 濟州 移住
Yunnan during late Yuan dynasty and early Ming dynasty, and immigration of meta descendants of formmer Yuan to Jeju
동양사학연구 |
119 |
2012 |
역사학
The Politics of Be(long)ing Home: Sandra Cisneros’s The House on Mango Street and Loida Maritza Pérez’s Geographies of Home
현대영미소설 |
18 |
1 |
2011 |
영어와문학
포스트-식민 박물관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대서양 노예무역 폐지 200주년 기념전을 중심으로
Postcolonial Museums and the Reconfiguration of ‘Multicultural’ Identity: 2007 Bicentenary Exhibitions of the Abolition of Transatlantic Slave Trade
역사비평 |
95 |
2011 |
역사학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
Migration and living space of the refuge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
Migration and living space of the refuge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제국 이후의 문명화 사명―파리 브랑리 미술관의 경우
Civilizing Mission after Empire: The Quai Branly Museum
역사비평 |
95 |
2011 |
역사학
한국의 결혼이주여성 인권보호를 위한 제언
Proposal of Protection for Migrant Women's Right
법학연구 |
15 |
2 |
2012 |
법학
20세기 초(1910~1931) 인천화교의 이주 네트워크와 사회적 공간
The Immigrant Network and Social Space of Overseas Chinese in Incheon of the Early 20th Century (1910~1931)
중국근현대사연구 |
47 |
2010 |
중국현대사
20세기 초(1910~1931) 인천화교의 이주 네트워크와 사회적 공간
The Immigrant Network and Social Space of Overseas Chinese in Incheon of the Early 20th Century (1910~1931)
중국근현대사연구 |
|
47 |
2010 |
중국현대사
문화소통과 사회통합 : 독일의 퀸 제안서(1979)와 ‘국가통합방안(2007)’을 중심으로
The Cultural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Kühn’s Memorandum(1979) and the National Integration Plan(2007) in Germany
중앙사론 |
34 |
2011 |
역사학
독일 양말 공장의 한인여성들 -한독개발원조 관계 속 젊은 한인여성들의 삶-
Korean Women Working in Socks Factories in Germany: The Life of Young Korean Women in the Development Aid between Korea and Germany
서양사론 |
104 |
2010 |
역사학
독일 양말 공장의 한인여성들 -한독개발원조 관계 속 젊은 한인여성들의 삶-
Korean Women Working in Socks Factories in Germany: The Life of Young Korean Women in the Development Aid between Korea and Germany
서양사론 |
|
104 |
2010 |
역사학
일제말기 조선인의 남양군도 이주와 그 성격(1939~1941)
The movement of Korean to the South Sea Islands and the characteristic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1939~194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일제말기 조선인의 남양군도 이주와 그 성격(1939~1941)
The movement of Korean to the South Sea Islands and the characteristic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1939~194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
『바람꽃』을 통해 본 조선족 정체성의 변이양상 ―주인공 의식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Identity Transition among Korean Chinese Reflected in 『Windflower(“Baramggot”)』 ―Focusing on Perspective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바람꽃』을 통해 본 조선족 정체성의 변이양상 ―주인공 의식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Identity Transition among Korean Chinese Reflected in 『Windflower(“Baramggot”)』 ―Focusing on Perspective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신경림 시의 공동체적 삶 추구에서 드러난 도시적 삶의 역할
A Study on the Role of Urban Life in the Investigation of Commual Life of Sin, Kyung-rim's Poems
우리말글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 내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의 형성과 특징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rmenian Diaspora in Russia
슬라브학보 |
2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 내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의 형성과 특징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rmenian Diaspora in Russia
슬라브학보 |
2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사랑의 배반, 트라우마 서사와 주체 형성 —토니 모리슨의『자비』
The Betrayal of Love, Trauma Narrative and Subjectivity Formation: Toni Morrison’s A Mercy
영어영문학 |
57 |
5 |
2011 |
영어와문학
황석영의 [바리데기]에 나타난 민족 문제
The national problem in Baridegi by Hwang Seok-young
한국학연구 |
41 |
2012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반 韓人의 上海 인식 ― 공간 인식을 중심으로 ―
Spatial Perception of Koreans Residents on Shanghai in the Early 20th Century
중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2 |
중국현대사
현대소설에 나타난 인간 본성의 변증법적 투쟁 -작가의 이주 경험을 중심으로-
The Dialectic Struggles into Human Being’s Unconsciousness over Modern Korean Novel History -With a Focus on a Writer’s Experience of Migration-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재러시아 고려인 작가 박미하일 소설 연구
A Study of Rusia-Resident novelist Park Michail’s work
배달말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The 1.5 Generation of the Korean Diaspora in South America: Rethinking Transnational Interactions
남미의 한인 교포 1.5세: 초국가적 상호작용의 재발견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The 1.5 Generation of the Korean Diaspora in South America: Rethinking Transnational Interactions
남미의 한인 교포 1.5세: 초국가적 상호작용의 재발견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上古時期 韓半島와 日本列島間 주민이동 및 교류양상에 관한 검토
The examination about an inhabitants'migration and interchanging aspec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t ancient times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上古時期 韓半島와 日本列島間 주민이동 및 교류양상에 관한 검토
The examination about an inhabitants'migration and interchanging aspec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t ancient times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포스트 사회주의 동유럽의 새로운 집시 대중문화: 그 가능성과 한계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and New Gypsy Counterculture
역사와 문화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
포스트 사회주의 동유럽의 새로운 집시 대중문화: 그 가능성과 한계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and New Gypsy Counterculture
역사와 문화 |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
다문화현상에 대한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Multiculture Phenomenon on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Integration
민족문화논총 |
44 |
2010 |
기타인문학
다문화현상에 대한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Multiculture Phenomenon on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Integration
민족문화논총 |
|
44 |
2010 |
기타인문학
19世纪后半期朝鲜人移居间岛、沿海洲地区比较
19세기 후반기 조선인들의 연해주와 간도이주 비교
통일인문학 |
49 |
2010 |
기타인문학
19世纪后半期朝鲜人移居间岛、沿海洲地区比较
19세기 후반기 조선인들의 연해주와 간도이주 비교
통일인문학 |
49 |
|
2010 |
기타인문학
세계화․세방화․다문화 - 아래로부터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 -
Globalization․Glocalization․Multiculturalism - A Proposal for Globalization from Below -
인문연구 |
59 |
2010 |
기타인문학
세계화․세방화․다문화 - 아래로부터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 -
Globalization․Glocalization․Multiculturalism - A Proposal for Globalization from Below -
인문연구 |
|
59 |
2010 |
기타인문학
다문화주의와 여성주의 사이의 갈등에 전제되어 있는 문화개념에 관하여 - 여성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The Concept of Culture presupposed in the conflict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 in the perspective of a woman diaspora
사회와 철학 |
20 |
2010 |
철학일반
다문화주의와 여성주의 사이의 갈등에 전제되어 있는 문화개념에 관하여 - 여성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The Concept of Culture presupposed in the conflict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 in the perspective of a woman diaspora
사회와 철학 |
|
20 |
2010 |
철학일반
소비에트 시대의 인구변천과 러시아 연방관구별 인구 변화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е изменения в советский период и население федеральных округов России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슬라브硏究 |
26 |
2 |
2010 |
지역학
소비에트 시대의 인구변천과 러시아 연방관구별 인구 변화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е изменения в советский период и население федеральных округов России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슬라브硏究 |
26 |
2 |
2010 |
지역학
정치의식의 탈경계 문화 충돌 -남북한 이주 갈등과 역사 인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Trans-boundary Cultural Clashes of Political Consciousness -With a Focus on the Correlation between Migration Conflict and Historical Recognition-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치의식의 탈경계 문화 충돌 -남북한 이주 갈등과 역사 인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Trans-boundary Cultural Clashes of Political Consciousness -With a Focus on the Correlation between Migration Conflict and Historical Recognition-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 내 코미민족의 이주와 정착과정 (16세기-20세기 초)
История миграции коми народа в России и процесс адаптации к новой среде (в XVI в. – в начале XX в.)
한국 시베리아연구 |
16 |
1 |
2012 |
러시아
중국 당대 조선족의 현실 수용의 방식과 그 의미 -황봉룡의 희곡을 중심으로-
The way in which Korean Chinese accepted their reality at that time and the of significance of that way: with focus on HwanBong-ryong's Drama
한중인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당대 조선족의 현실 수용의 방식과 그 의미 -황봉룡의 희곡을 중심으로-
The way in which Korean Chinese accepted their reality at that time and the of significance of that way: with focus on HwanBong-ryong's Drama
한중인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귀환의 양상 고찰
A Study on Aspects of Repatriation in Novels under the Period of Liberation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귀환 이주’가 구약에서 강조된 이유
Causes of the Emphasis on ‘Return Migration’ in the Old Testament
구약논단 |
17 |
1 |
2011 |
기독교신학
코리안 디아스포라 생활사 연구의 구술사 활용방법 - 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The History of Everyday Lives of Korean Diaspora and A Research Method of Oral History - An Anthropological Approach -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일제 식민화 초기 서사에 나타난 해외이주 형상의 의미
Meaning of Emigration Imagery in the Narrative of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현대 재일한인 디아스포라의 이주와 재영토화 연구: 오사카와 도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gr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of Korean-Japanese Diaspora
한국동북아논총 |
16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독일라디오의 다문화프로그램
Das multikulturelle Programm im deutschen Radio
독일언어문학 |
51 |
2011 |
독일어와문학
OECD 국가의 공공사회지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이주현상 요인의 논의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Public Social Expenditure in OECD Countries:the Rise of Migration-Related Variables and Their Impacts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5 |
2 |
2011 |
정책학
중앙아시아의 노동 이주 현황과 사회 · 경제적 영향
Current Situation of Labor Migration in Central Asia and Its Socio-Economic Implication
슬라브硏究 |
28 |
1 |
2012 |
지역학
부산 화교의 이주를 통해 본 ‘전쟁’과 가족
‘War’ and Family Seen through the Migration of Chinese Minority in Busan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A Study on Factors of Domestic Migration of the Ethnic Burman in Burmese Kings' Age
미얀마 왕조시대에서 나타나는 미얀마족 이주의 원인고찰
아시아연구 |
15 |
1 |
2012 |
지역학
TILTING AT WINDMILLS: A HISTORY OF AMERICAN IMMIGRATION LAW AND POLICY
풍차에 금박으로 제목입히기: 미국의 이민법과 이민정책의 역사
법학연구 |
51 |
4 |
2010 |
기초법
추방, 탈출, 난민: 독일문제와 이주 (1945-1998)
Expulsion, Escape, and Asylum: "the German Question" and Migration (1945-1998)
역사와 세계 |
38 |
2010 |
기타역사일반
추방, 탈출, 난민: 독일문제와 이주 (1945-1998)
Expulsion, Escape, and Asylum: "the German Question" and Migration (1945-1998)
역사와 세계 |
38 |
|
2010 |
기타역사일반
개인이 인식하는 세계의 크기와 세계화
The size of the world that the individual recognizes and the globalization
인문학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글로벌 이주와 초국가 공동체의 형성: 영국 거주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변화
Korean-Chinese(Chosonjok) in U.K. : Migration, Settlement and Social Relations
한국동북아논총 |
17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뵈르 문학과 뵈르성 -『아르시 아메드 규방에서의 차』,『샤바의 아이』,『조르제트!』를 중심으로 -
Littérature beur et beurité - Le thé au harem d’Archi Amed, Le gone du Chaâba, Georgette ! -
프랑스어문교육 |
40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탈국경화 시대의 역사 교육 - 세계사교육을 중심으로 -
History Education in the Transnational Era - Focusing on World History Education -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탈국경화 시대의 역사 교육 - 세계사교육을 중심으로 -
History Education in the Transnational Era - Focusing on World History Education -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이무기 사냥꾼>에 나타난 이주 담론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on Immigration in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무기 사냥꾼>에 나타난 이주 담론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on Immigration in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조선족 이주민 3세들의 삶의 풍경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를 중심으로-
Lives of Descendants of Korean Chinese Immigrants -Focusing on -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 ‘이주’의 형상화 ― 한국 시에 나타난 다문화의 양상
The Embodiment of Multicultural Space and “Migration” ― the Multicultural Aspects in Korean Poetry
국어교육연구 |
26 |
2010 |
국어교육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 ‘이주’의 형상화 ― 한국 시에 나타난 다문화의 양상
The Embodiment of Multicultural Space and “Migration” ― the Multicultural Aspects in Korean Poetry
국어교육연구 |
|
26 |
2010 |
국어교육
<잘 가라, 서커스>에 나타난 이주 담론 연구
The Study on the Discourse of Immigration and Migration in
현대소설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잘 가라, 서커스>에 나타난 이주 담론 연구
The Study on the Discourse of Immigration and Migration in
현대소설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국 이민연구와 적극적 사회주체로서의 이주자들
Immigrants as an Active Human Agent in American Immigration Studies
사림 |
36 |
2010 |
역사학
미국 이민연구와 적극적 사회주체로서의 이주자들
Immigrants as an Active Human Agent in American Immigration Studies
사림 |
|
36 |
2010 |
역사학
이주노동자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the migrant workers’ children in Korea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2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과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Studies on social Integration Policy of Germany and Korea - focusing on social Integration Program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39 |
2011 |
사회복지학일반
한인의 만주 이주 양상과 동북아시아: ‘농업이민’의 성격 전환을 중심으로
Changing Patterns of Korean Migration to Manchuria in the 19th to 20th Centuries: from Voluntary Immigration to Enforced Relocation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다문화 시대와 한국문학 연구
A new Approach to Korean Literature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다문화콘텐츠연구 |
4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다문화 시대와 한국문학 연구
A new Approach to Korean Literature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다문화콘텐츠연구 |
4 |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탈국경화 시대의 진전과 독일 역사교육: ‘상호문화간 역사교육(Interkulturelles Geschichtslernen)’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Border-Crossing Society and German History Education:Focusing on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of ‘Intercultural History Education’
사회과교육 |
50 |
2 |
2011 |
교육학
이주의 증가와 독일 이주민정책의 변화
Immigration Growth and the Changes of Immigrants Policy in Germany
국제.지역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조동옥, 파비안느>에 나타난 이주 담론의 인문학적 연구
A humanistic study on discourse on migration in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Neoliberalization of the National Institutional Framework of Immigration Policies in the Era of Transnationalism: The Case of South Korea
초국가시대 국가 이주정책의 제도적 틀의 신자유주의적 선회: 한국의 사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5 |
1 |
2012 |
지리학
한국인의 식생활 속의 다문화 실천: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Re-defining‘ Korean Cuisine’: The Dietary Lives of Internationally-Married Couples
한국문화인류학 |
45 |
2 |
2012 |
역사학
이주의 서사와 로컬리티 - 『나마스테』와 『잘가라, 서커스』에 재현된 이주 공간
Narrative for Migration and Locality - Representaion of Migration in Namaste and Goodbye, Circus -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주의 서사와 로컬리티 - 『나마스테』와 『잘가라, 서커스』에 재현된 이주 공간
Narrative for Migration and Locality - Representaion of Migration in Namaste and Goodbye, Circus -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사회의 서사 유형과 서사 전략에 관한 연구
Narrative Types and a Narrative Strategy in Multi-Cultural Society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사회의 서사 유형과 서사 전략에 관한 연구
Narrative Types and a Narrative Strategy in Multi-Cultural Society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경 거주 한인 가족의 동아시아 이주궤적과 가족전략
Migration Trajectory and Family Strategy of a Korean-Chinese Family in Beijing, China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