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과 인식의 욕망기관으로서의 인조인간 형상 연구 —로봇에 대한 자의식 및 소설적 형상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hape of Mechanical Man, the Desire-organ of Sense and Recognition: Focusing on the New Self-consciousness of Robot, Creating Shapes of Novel
문학과 영상 |
12 |
2 |
2011 |
영상문학
시종일관(始終一貫) 성령 안에서 성령과 함께 교육하기
Educating in and with the Spirit from Beginning to End
기독교교육 논총 |
24 |
2010 |
기독교교육
시종일관(始終一貫) 성령 안에서 성령과 함께 교육하기
Educating in and with the Spirit from Beginning to End
기독교교육 논총 |
|
24 |
2010 |
기독교교육
칼 야스퍼스와 한나 아렌트의 대화: 정치철학적 주요 논제를 중심으로
The Dialogue between Karl Jaspers and Hannah Arendt: Focusing on Major Topics of Political Philosophy
한국정치학회보 |
44 |
3 |
2010 |
정치외교학
칼 야스퍼스와 한나 아렌트의 대화: 정치철학적 주요 논제를 중심으로
The Dialogue between Karl Jaspers and Hannah Arendt: Focusing on Major Topics of Political Philosophy
한국정치학회보 |
44 |
3 |
2010 |
정치외교학
알래스대이어 맥킨타이어의 공동체에 대한 윤리적 담론
Alasdair MacIntyre’s Ethical Discourse of Commu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31 |
2011 |
조직신학
Humanity's and inhumanity's paradigms: folktale elements and gender reconfiguration in selected works of Ingeborg Bachmann and Elfriede Jelinek
인간성과 비인간성의 패러다임: 잉에보르크 바흐만과 엘프리데 옐리넥의 작품에 나타나는 민담 요소 및 젠더 재구성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Science with a Human Touch: An Urgent Need to Augment Life and Culture
생명연구 |
19 |
2011 |
서양철학
칸트, 헤르더, 낭만주의 ― 인류 역사의 철학과 인간성의 이상 ―
Kant, Herder, und die Romantik ―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der Menschheit und das Ideal der Humanita¨t ―
인간연구 |
18 |
2010 |
철학
칸트, 헤르더, 낭만주의 ― 인류 역사의 철학과 인간성의 이상 ―
Kant, Herder, und die Romantik ―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der Menschheit und das Ideal der Humanita¨t ―
인간연구 |
|
18 |
2010 |
철학
T. 리비우스,『도시의 건설로부터』-전환기의 역사서술-
Titus Livius’ History of Rome: A History in Transition
서양사론 |
113 |
2012 |
역사학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확장 - 새로운 미술교육 담론의 수용을 중심으로 -
Holistic Approaches to Art Education for Humanity: Recent Trajectory and Boundaries of the Discourses
미술교육논총 |
25 |
3 |
2011 |
미술
왜 체육공부인가?
Why is physical education kong-fu?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3 |
2010 |
체육
왜 체육공부인가?
Why is physical education kong-fu?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3 |
2010 |
체육
마크 트웨인의 풍자와 인간관 -『허클베리 핀의 모험』을 중심으로-
Mark Twain's Satire and His View of Man - Focused on 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대중문화와 복음의 연관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 : 인간성의 실현을 위하여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Culture and the Gospel : for a purpose to realize the huma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32 |
2012 |
조직신학
듀이의 프래그마티즘과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 개념의 재구성: 인간성, 도덕성, 사회성, 정치성의 유기적 결합
John Dewey's Pragmatism and Reconstruction of Citizenship Concept in Social Studies: Organic Solidarity of Humanity, Morality, Sociality and the Political
사회과교육연구 |
18 |
2 |
2011 |
사회교육학
지식의 인간성, 학문의 사회성, 교육의 공공성- 지식과 학문과 교육의 통합체계로서의 사회인문학 -
Social Humanities as a Consilient System of Knowledge, (Human) Science, and Education: Interconnecting Publicness with Individuality, Societas and Humanus, Life and Knowledge
동방학지 |
156 |
2011 |
기타인문학
과학에 대한 D.H. 로렌스의 태도와 포스트휴먼 사상
D. H. Lawrence’s Attitude on Science and Posthuman Thought
D.H. 로렌스 연구 |
19 |
1 |
2011 |
영어와문학
자연의 다의적 인식: 「리어왕」의 폭풍우 장면
Layered Meanings of Nature: the Storm Scene in King Lear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20 |
2 |
2011 |
영어와문학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 개념
Schleiermachers Begriff der Menschheit
동서철학연구 |
63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