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목대비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B0203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한국정치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725

한자 : 仁穆大妃

y01-01 실존인물

저작

[R] 보문경

직업

계비

생몰년_t

1584-1632

성별2

여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인목왕후 [ 仁穆王后 ]

UF (비우선어)

존호

 

소성정의명렬 [ 昭聖貞懿明烈 ]

UF (비우선어)

휘호

 

광숙장정 [ 光淑莊定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계축일기 [ 癸丑日記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목릉 [ 穆陵 ]

RT (관련어)

모녀관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명 공주 [ 貞明公主 ]

RT (관련어)

모자관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영창대군 [ 永昌大君 ]

RT (관련어)

부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제남 () [ 金悌男 ]

R5:물리적

Relative_1 (친인척)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선조 (1567-1608) [ 宣祖 ]

寒岡 鄭逑의 上疏文 硏究 ― 說君을 위한 修辭의 要諦 ―

A Study on Sangsomun of Hangang Jeong Gu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안성 칠장사 法浻 作 <오불회괘불>의 재검토

An Reexamination of Beobhyung(法浻)’s Five Assemblies of Buddhas Gwabul Painting(五佛會掛佛) in ChilJang-Temple, Anseong City

불교미술사학 | 13 | 2012 | 미술사

인조 경운궁 즉위의 정치적 의미

The accession of King Injo to throne in Gyeongun Place(慶運宮) and its Political meaning

한국인물사연구 | 15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