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지리학

연구분야 : B160200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B160299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기타인문지리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730

한자 : 人文地理學
영어 : human geography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계통 지리학 [ 系統地理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통 지리학 [ 交通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인구 지리학 [ 人口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관광 지리학 [ 觀光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페미니스트 지리학 [ --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취락 지리학 [ 聚落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사회 지리학 [ 社會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도시 지리학 [ 都市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정치 지리학 [ 政治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역사 지리학 [ 歷史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경제 지리학 [ 經濟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화 지리학 [ 文化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계량 지리학 [ 計量地理學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R] 인문 지리학자 () [ 人文地理學者 ]

韓國人의 場所와 正體性: 韓國學을 위한 試論

The Relation between Place and Identity in Korea: A Preliminary Study for the Korean Studies

대한지리학회지 | 47 | 1 | 2012 | 지리학

관서․관북 지역의 인문지리학적 의의와 문학

The Human-Geographical Importance of Gwanseo․Gwanbuk Area and its Literature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편혜영 소설에 나타난 장소상실과 그 의미 - 집, 일터, 길의 공간 구조 및 인문지리학적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lacelessness and Meaning in Pyun, Hye-young's novels - Focusing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human geographical awareness of house, workplace, road -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