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731
한자 : 人文科學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
|
‘종교문화’의 의미
The Meaning of ‘zonggyomunhwa(zongjiaowenhua, 宗敎文化)’
종교연구 | 61 | 2010 | 종교학
‘종교문화’의 의미
The Meaning of ‘zonggyomunhwa(zongjiaowenhua, 宗敎文化)’
종교연구 | | 61 | 2010 | 종교학
의사소통 장애와 치유의 문제
Communication Disorders and Healing
인문학연구 | 21 | 2012 | 기타인문학
초국가화와 대학: 글로벌 모더니티의 관점
Transnationalization and the University: The Perspective of Global Modernity
동방학지 | 156 | 2011 | 기타인문학
창의적 미래 도시문화공간 구축을 위한 ‘도시인문학’의 학문적 기반 심화 연구 - 횡단의 세미오시스와 문화기호생태계 고찰 -
Une étude approfondie sur les conditions de l'espace culturel créatif dans une perspective des sciences humaines(et des humanités) de la ville
기호학 연구 | 27 | 2010 | 언어학
창의적 미래 도시문화공간 구축을 위한 ‘도시인문학’의 학문적 기반 심화 연구 - 횡단의 세미오시스와 문화기호생태계 고찰 -
Une étude approfondie sur les conditions de l'espace culturel créatif dans une perspective des sciences humaines(et des humanités) de la ville
기호학 연구 | 27 | | 2010 | 언어학
미국 대학의 기업화
The Corporat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미국 대학의 기업화
The Corporat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내 안의 시인을 깨우는 문학치료
Poetry Therapy: Give Voice to the Poet inside You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내 안의 시인을 깨우는 문학치료
Poetry Therapy: Give Voice to the Poet inside You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축제의 하이콘셉트와 하이인터페이스
High Concept and High Interface of Festival
인문콘텐츠 | 19 | 2010 | 기타인문학
축제의 하이콘셉트와 하이인터페이스
High Concept and High Interface of Festival
인문콘텐츠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인문학으로서 지리학과 지리교육 -존재이유를 묻다-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as the Humanities: Ask the Raison D’ˆetre
대한지리학회지 | 45 | 6 | 2010 | 지리학
인문학으로서 지리학과 지리교육 -존재이유를 묻다-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as the Humanities: Ask the Raison D’ˆetre
대한지리학회지 | 45 | 6 | 2010 | 지리학
한문과 교육에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寓言․說話․小說의 수준과 범위에 대한 試論-
The level and range of text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 the level and range of allegory, folk take, novel -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세계체제 분석, 탈근대론, ‘로컬리티의 인문학’
World-System Analysis, Postmodernism, and Localitology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세계체제 분석, 탈근대론, ‘로컬리티의 인문학’
World-System Analysis, Postmodernism, and Localitology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민속학과 역사학의 통섭을 위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flection for Consilience between Folklore and History
민속학연구 | 30 | 2012 | 역사학
로컬리티의 연구동향과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
The Tendency of Locality Study and the New Movement of Humanity Study
한국학논집 | 42 | 2011 | 기타인문학
르네상스 번역과 인문주의 정신
La traduction renaissante en faveur de l'étude des Sciences humaines
불어불문학연구 | 8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르네상스 번역과 인문주의 정신
La traduction renaissante en faveur de l'étude des Sciences humaines
불어불문학연구 | | 8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인문치료의 구성요소로서의 감성
Gamsung as constituent element of the Humanities therapy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로컬리티와 인문학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로컬리티와 인문학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학위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한 문화콘텐츠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Meta Analysis in a Thesis for a Degree
글로벌문화콘텐츠 | 7 | 2011 | 기타인문학
대학 교양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University's Liberal Arts and Chinese Characters's Cultural Area of East Asia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대학 교양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University's Liberal Arts and Chinese Characters's Cultural Area of East Asia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原初儒家의 美意識과 人文學
An esthetic sense of the Confucianism and the humanities
한국사상과 문화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시대의 삶을 위한 인문학적 상상력
Humanistic Imagination for the Life in the Multi-Cultural Age
철학∙사상∙문화 | 9 | 2010 | 기타인문학
다문화시대의 삶을 위한 인문학적 상상력
Humanistic Imagination for the Life in the Multi-Cultural Age
철학∙사상∙문화 | | 9 | 2010 | 기타인문학
로컬리티와 인문학의 만남
Meeting of the Humanities and Locality ― Review Statement on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로컬리티와 인문학의 만남
Meeting of the Humanities and Locality ― Review Statement on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독일 시와 노래의 활용 가능성
Gebrauchsmöglichkeiten der deutschen Lyrik und Lieder
헤세연구 | 26 | 2011 | 독일어와문학
人文學的 글쓰기와 스토리 텔링, 그 가능성을 위한 初考
Humanistic Writing and storytelling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人文學的 글쓰기와 스토리 텔링, 그 가능성을 위한 初考
Humanistic Writing and storytelling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문학(humanitas)의 학적 체계화 시도와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ars 개념을 중심으로
Ars and Humanitas in Cicero
서양고전학연구 | 39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인문학(humanitas)의 학적 체계화 시도와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ars 개념을 중심으로
Ars and Humanitas in Cicero
서양고전학연구 | | 39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제문론, 인문학번역, 번역인문학
Problématologie, traduction des sciences humaines et sciences humaines du traduire
불어불문학연구 | 89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대학글쓰기 교육과 인문학 지평의 확장 - 숙명여자대학교 글쓰기 교육사를 중심으로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The Extension of Humanities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新實學, 그 가능성과 方向
The Potentiality of New Shilhak and Its Orientation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인문학으로서의 국어 연구의 대중화ㆍ실용화 - 언어 정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Populariz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Studies as Humanities: Focused on the Relation with the Language Policy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후 일본의 문화정책과 인문학
Cultural Policy and Humanities of Japan after the War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20 | 2012 | 일본문화학
인문학 진흥의 토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oundworks for the Promo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대동철학 | 57 | 2011 | 철학
철학과 인문학, 개념적 상호작용의 역사 - 서양학문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소고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A History of their Conceptual Interaction
인문논총 | 63 | 2010 | 기타인문학
철학과 인문학, 개념적 상호작용의 역사 - 서양학문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소고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A History of their Conceptual Interaction
인문논총 | | 63 | 2010 | 기타인문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동양철학
教養教育としての東洋哲学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한국에서 신학과 인문학의 창조적 만남을 위한 교회사적 소고
Seeking a Creative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Humanities in Korea
한국개혁신학 | 32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과학으로서의 문학 개념의 형성과 ‘知’의 표준화 - 주요 ‘문학개론서’를 중심으로 -
Formation of Literature Concept as Science and Standardization of ‘Knowledge’
동방학지 | 150 | 2010 | 기타인문학
과학으로서의 문학 개념의 형성과 ‘知’의 표준화 - 주요 ‘문학개론서’를 중심으로 -
Formation of Literature Concept as Science and Standardization of ‘Knowledge’
동방학지 | | 150 | 2010 | 기타인문학
인문학의 치유적 의미에 대하여
A Study on the Meaning of 'Healing' in the Humanities
인문과학연구 | 25 | 2010 | 기타인문학
인문학의 치유적 의미에 대하여
A Study on the Meaning of 'Healing' in the Humanities
인문과학연구 | | 25 | 2010 | 기타인문학
무용교육의 인문학적 과제
The Agenda of humanities in Dance Education.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2 | 1 | 2011 | 무용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학
Art History as a Humanistic Discipline A Reflection on Its Korean Academia
미술사학연구 | 268 | 268 | 2010 | 미술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학
Art History as a Humanistic Discipline A Reflection on Its Korean Academia
미술사학연구 | 268 | 268 | 2010 | 미술
영미 교도소 연극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
The Application of the British and American Prison Theatre Programs to the Prisoners in Korea
교정담론 | 5 | 1 | 2011 | 형사정책
르네상스와 우리 인문학
The Renaissance and the Humanities in Korea
중세근세영문학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DMZ의 미래와 인문학: 시각과 과제
The Future of DMZ and Humanities: Perspectives and Tasks
통일문제연구 | 24 | 1 | 2012 | 정치외교학
왜 인문학에 끌리는가? : 문화․학습․실존의 끌개경험으로서 인문학습의 의미
On the meaning of Humanities Learning as an attractor experience in interlocking culture, learning, and human existence
교육인류학연구 | 13 | 1 | 2010 | 교육학
왜 인문학에 끌리는가? : 문화․학습․실존의 끌개경험으로서 인문학습의 의미
On the meaning of Humanities Learning as an attractor experience in interlocking culture, learning, and human existence
교육인류학연구 | 13 | 1 | 2010 | 교육학
체육교육의 인간학적 접근
The Humanistic Approach of Physical Education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16 | 3 | 2011 | 체육교육학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의 인류학 개론 교육: 교양 강좌를 중심으로
How Are We Teaching Introduction to Anthropology? :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한국문화인류학 | 43 | 2 | 2010 | 역사학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의 인류학 개론 교육: 교양 강좌를 중심으로
How Are We Teaching Introduction to Anthropology? :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한국문화인류학 | 43 | 2 | 2010 | 역사학
인문학 교육의 역할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 K중학교 “인문학교”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Role and Utility of Humanities and Educ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management of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중등교육연구 | 60 | 1 | 2012 | 교육학
대학의 변화와 ‘지금-여기’의 인문학
The Change of Universities and the Humanities of 'Here and Now'
대동철학 | 57 | 2011 | 철학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Discussions on "A Comparative Stud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Humanities Therapy"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Discussions on "A Comparative Stud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Humanities Therapy"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마음인문학의 학문적 성격과 도야적 탐구
The Characteristics of Maum Humanities: Understanding in Concept of ‘Building’
디지털융복합연구 | 9 | 2 | 2011 | 기타과학기술학
인문학, 인문학 실천, 그리고 인문치료
Humanities. Humanities Practice and Humanities Therapy
인문과학연구 | 25 | 2010 | 기타인문학
인문학, 인문학 실천, 그리고 인문치료
Humanities. Humanities Practice and Humanities Therapy
인문과학연구 | | 25 | 2010 | 기타인문학
공자의 인문학 강의와 인간의 삶 -공자의 문학교육과 역사교육의 인문치료적 의미에 대하여
Confucius and Humanities Therapy -education, counselling and therapy using literature and history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사회인문학과 비판적 잡지에 관한 몇 가지 생각
A Few Thoughts on Social Humanities and Critical Magazines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사회인문학과 비판적 잡지에 관한 몇 가지 생각
A Few Thoughts on Social Humanities and Critical Magazines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인문학의 새로운 이상, 자유와 평등을 넘어 사랑으로:인문학 주체로서 여성의 역할
Beyond Freedom and Equality toward Love as a New Ideal with Women’s Increasing Role in Humanities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사이버 공간의 정신과 육체의 유형학-인문학적 탐색-
Humanistic Approach of Mind and Body on Cyberspace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사이버 공간의 정신과 육체의 유형학-인문학적 탐색-
Humanistic Approach of Mind and Body on Cyberspace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공감과 소통
The Communication and the Sympathy of the Classical Poetry in the Mass media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인문학의 복지적 실천을 위한 시론적 탐색: 사회서비스와 인문학!
A Theoretical Inquiry for Welfare Practice of the Humanities : Social Service and Humanities
인문과학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인문학의 복지적 실천을 위한 시론적 탐색: 사회서비스와 인문학!
A Theoretical Inquiry for Welfare Practice of the Humanities : Social Service and Humanities
인문과학연구 | | 26 | 2010 | 기타인문학
인문적 상상력과 사회적 상상력: 독일 낭만주의 시대의 인문주의 재고
From Humanistic Imagination to Social Imagination: a Reflection on the Humanistic Legacy of German Romanticism
동방학지 | 149 | 2010 | 기타인문학
인문적 상상력과 사회적 상상력: 독일 낭만주의 시대의 인문주의 재고
From Humanistic Imagination to Social Imagination: a Reflection on the Humanistic Legacy of German Romanticism
동방학지 | | 149 | 2010 | 기타인문학
1950년대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 ‘知’의 형성 -1953~1960년간 <연희춘추/연세춘추>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Humanistic refinement and Cultural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in 1950s -Focusing on The Yeonhi Chunchu/The Yonsei Chunchu during 1953~1960-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 ‘知’의 형성 -1953~1960년간 <연희춘추/연세춘추>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Humanistic refinement and Cultural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in 1950s -Focusing on The Yeonhi Chunchu/The Yonsei Chunchu during 1953~1960-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